올해 돌봄시설 종사자에 대한 검진결과 검진자 4명 중 1명 이상이 잠복결핵감염, 9명은 결핵환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신생아·영유아 돌봄시설의 종사자 약 5만 7,000명에게 잠복결핵감염 및 결핵 검진을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이 사업은 돌봄시설에 종사자 등에서 결핵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종사자의 결핵을 조기 발견해 영유아에게 결핵균 전파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올해 처음 정부가 추진했다.
이번 사업으로 총 5만 6,804명(당초 목표 검진 인원 4만 1,000명)의 검진을 지원한 것으로 어린이집 임시일용직 근로자 4명 중 3명, 유치원 임시일용직 근로자 10명 중 9명의 검진을 지원한 셈이다.
이번 검진 결과 전체 검진자의 25.8%(1만 4,645명)의 잠복결핵감염자와 9명의 활동성 결핵 환자를 발견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결핵 퇴치를 위해서는 잠복결핵감염을 진단하여 결핵 발병 전 예방치료로 발병을 예방하거나 결핵을 조기 발견하여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지난해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은 OECD 가입이후 27년 만에 최하위를 면했지만 아직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결핵 퇴치 수준으로 가기 위해서는 잠복결핵감염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앞으로도 질병관리청은 선제적으로 결핵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 지원을 이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들께서는 잠복결핵감염 검진 대상자일 경우 적극적으로 검진을 받으시고, 잠복결핵감염자로 진단된 경우에는 예방치료를 하면 결핵을 최대 90%까지 예방할 수 있으니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받으시길 당부드린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돌봄시설종사자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 개요▲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 안내 등은 (메디컬월드뉴스 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