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장(청장 지영미)이 지난 2016년 메르스 유행 이후 약 8년 만에 방역정보시스템을 개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표)방역통합정보시스템 시스템 개편 및 제도개선 방향
◆현행 감염병 대응 제도와 시스템 문제점 분석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2년 4월부터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단’ 설치해 검역소, 의료기관, 보건소 등 현장 담당자들과 소통하고, 코로나19를 겪으며 아쉬웠던 점을 진단해여 현행 감염병 대응 제도와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했다.
주요 문제점으로 ▲업무 담당자 간 정보가 충분히 공유되지 않아 감염병 대응 속도가 지연되는 점, ▲감염병별로 수집하는 정보가 서로 달라 연구·분석에 활용하기 어려운 점 등이 파악됐다.
◆분절된 업무 시스템 통합 관리 등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검역-감염병-코로나19 등 분절된 업무 시스템을 통합해 관리할 예정이다.
(표)감염병정보시스템 개편 방향
구체적으로 ▲환자 발생 시 검역소와 지자체 간 공문 등으로 정보를 주고받던 문제나 조사 대상자의 진술에 의존하여 수집하던 정보를 시스템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여 업무 처리 속도를 높인다.
▲감염병별로 서로 다른 정보 수집 체계를 개편하여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해도 표준화된 체계를 신속하게 공동 활용하는 등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질병청 시스템이 수집한 감염병 관련 데이터 가공 및 개방으로 질병청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정책연구분석이 가능하게 하여 방역정책 개편 및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표)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시 주요 변화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라는 긴 터널 속에서 보여주신 국민의 헌신과 참여에 감사하며 방역에서 시스템의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더 나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현장 담당자들과 꾸준히 소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비는 253억 원이며, 사업기간은 2022년 11월부터 2024년 6월까지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