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감염병관리통합정보시스템’ 개편 추진…메르스 후 8년 - 코로나19 대응 시 한계점 보완, 탄력적 대응 지원 등
  • 기사등록 2023-05-03 23:16:55
기사수정

질병관리청장(청장 지영미)이 지난 2016년 메르스 유행 이후 약 8년 만에 방역정보시스템을 개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표)방역통합정보시스템 시스템 개편 및 제도개선 방향 

◆현행 감염병 대응 제도와 시스템 문제점 분석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2년 4월부터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단’ 설치해 검역소, 의료기관, 보건소 등 현장 담당자들과 소통하고, 코로나19를 겪으며 아쉬웠던 점을 진단해여 현행 감염병 대응 제도와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했다.

주요 문제점으로 ▲업무 담당자 간 정보가 충분히 공유되지 않아 감염병 대응 속도가 지연되는 점, ▲감염병별로 수집하는 정보가 서로 달라 연구·분석에 활용하기 어려운 점 등이 파악됐다.


◆분절된 업무 시스템 통합 관리 등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검역-감염병-코로나19 등 분절된 업무 시스템을 통합해 관리할 예정이다.

(표)감염병정보시스템 개편 방향

구체적으로 ▲환자 발생 시 검역소와 지자체 간 공문 등으로 정보를 주고받던 문제나 조사 대상자의 진술에 의존하여 수집하던 정보를 시스템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여 업무 처리 속도를 높인다.


▲감염병별로 서로 다른 정보 수집 체계를 개편하여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해도 표준화된 체계를 신속하게 공동 활용하는 등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질병청 시스템이 수집한 감염병 관련 데이터 가공 및 개방으로 질병청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정책연구분석이 가능하게 하여 방역정책 개편 및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표)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시 주요 변화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라는 긴 터널 속에서 보여주신 국민의 헌신과 참여에 감사하며 방역에서 시스템의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더 나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현장 담당자들과 꾸준히 소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비는 253억 원이며, 사업기간은 2022년 11월부터 2024년 6월까지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534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