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근감소증 고관절 골절환자, 일반환자 대비 사망률 2배~3배 높아 - 부민병원 하용찬 부원장 공동연구팀
  • 기사등록 2022-09-06 00:07:18
기사수정

고관절 골절 환자 중 근감소증이 동반된 환자의 경우 사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부민병원 하용찬 진료부원장과 공동연구팀은 평균 연령 77.9세인 고관절 골절 환자 1,003명을 대상으로 근감소증의 진단방법으로 사용되는 기준으로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로 판단하는 세가지 모델 중 근감소증의 예후를 가장 잘 판단할 수 있는 진단방법을 조사했다. 


각각 3가지 기준에 의해 나누는 근감소증을 동시에 가진 환자의 유병율을 조사하고, 1년 / 2년 / 5년 사망률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근감소증의 진단은 아시아인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했으며, 이중에너지 엑스레이 측정을 통하여 골격근량(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이하 ASM)을 측정하고 악력 측정을 시행하여 근력을 평가했다. 


또 ASM 기준 흡광도 측정을 통해 세 가지 지표를(ASM/키의 제곱, ASM/체중, ASM/체질량 지수) 계산하여 근감소증으로 진단했다. 사망률은 수술 후 1년, 2년, 5년 뒤 평가했다.

1,003명(남 243명, 여 760명)의 고관절 골절 환자를 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여성 8%(60명), 남성 17.3%(42명)가 사망했고, 5년을 추적 관찰한 결과 여성 24.3%(185명), 남성 33.7%(82명)가 사망했다. 


각각 세 가지 진단기준에 따른 근감소증의 유병율과 사망률의 차이가 있었지만, 사지 근육량을 키의 제곱으로 나누는 방법에서 근감소증이 없는 환자와 비교했을 때 1년 사망률 (남 24% vs 0%, 여 10 % vs 5%, p<0.05),  2년 사망률 (남 28% vs 4%, 여 18 % vs 5%, p<0.05), 5년 사망률 (남 44% vs 4%, 여 35 % vs 9%, p<0.05)이 유의하게 근감소증 환자군에서 남녀 모두 높게 나타났다.</p>


하용찬 부원장은는 “이번 연구는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근감소증과 사망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고관절 골절 환자의 골근감소증 유병율이 높고, 장기예후가 불량하다는 것을 임상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1년, 2년, 5년 사망률이 근감소증이 없는 환자의 사망률에 비하여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환자중심의료기술 최적화 연구 사업단의 지원으로 시행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노인병 분야 저명한 학회지인 ’미국 노인병 학회지(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에 ‘고관절 골절에 의한 노인환자의 근감소증 유병률 및 사망률 관계(Prevalence of sarcopenia and mortality rate in older adults with hip fracture)‘이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170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