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간호사가 수술할 의사가 없어 이송하다 사망한 사건으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사망한 간호사는 지난 7월 24일 새벽 이 병원에서 근무하다 뇌출혈로 쓰러져 응급실로 옮겨졌지만 수술할 의사가 없어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됐다. 하지만 수술 골든타임을 놓쳐 결국 사망했다.
이에 대해 대한간호협회(회장 신경림)는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사망 사고’와 관련해 “서울아산병원은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사실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간협은 지난 2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서울아산병원 간호사의 안타까운 죽음에 깊은 애도와 유가족 분들께 위로의 뜻을 전한다”며, “고인의 갑작스런 사망소식에 대한 공식적이고 책임있는 입장 표명이 없어 여러 의혹과 주장들이 있는 것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간호사 사망 사고는 우리나라 의사 부족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워 준 예견된 중대한 사건이라는 지적이다.
간협은 “간호사로서 환자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최선을 다해 온 고인의 명예가 온전히 지켜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당시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에는 뇌출혈 긴급 수술을 할 수 있는 의료진이 휴가로 해외나 지방에 있었고, 남은 인력도 외과적 수술을 할 수 있는 의사가 아니어서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한편 보건복지부 이기일 2차관은 지난 2일 국회 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번 사건에 대한 조사를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