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식약처,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계획서 표준안 마련…5월 31일 공개 - ‘우리백신 프로젝트’본격 가동
  • 기사등록 2021-06-01 01:40:37
기사수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가 국내 제약사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우리 백신 프로젝트’를 본격 착수한다.
이와 관련해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계획서 표준안을 마련해 5월 31일 공개한다.


◆현재까지 국내 5개사 임상시험 진입
식약처는 그간 코로나19 발생 후 안전하고 효과 있는 백신이 신속하게 국내에 도입될 수 있도록 허가에 총력을 기울이고, 국내 개발 중인 26개 품목에 대한 시험·자료 준비 상담을 57차례 실시하는 등 초기단계부터 연구개발자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왔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현재까지 국내 5개사가 임상시험에 진입했다. 지금부터는 3상 임상시험 진입과 국산 백신 상용화를 위해 보다 특화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판단 아래 ‘우리 백신 프로젝트’를 마련해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계획서 표준안 마련, 제공
식약처는 임상시험을 준비하는 국내 백신 개발사에 길잡이가 될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계획서 표준안을 마련해 제공한다.
표준안은 ▲임상 1·2상 ▲임상 3상(일반적인 유효성 임상) ▲임상 3상(비교임상) 등 총 3종으로 마련되어 백신 개발 경험이 부족한 국내 제약사도 쉽게 임상시험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그동안 백신은 수 만 명의 시험대상자가 필요한 일반적인 유효성 임상 3상으로 진행돼 왔지만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이 본격화되어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위약대조군을 모집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기존 방식은 국산 백신 개발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식약처 백신 심사 전문가들은 이미 허가된 백신과 개발 중인 백신을 중화항체가와 같은 면역원성 지표 등으로 비교하는 ‘면역원성 비교임상 3상’ 설계를 선제적으로 제시했고, 이 방식을 이용하면 대규모 피험자수와 위약대조군 모집 없이도 임상 3상이 가능하다.


◆상세 기준…구체적 예시 담아 제시
이번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계획서 표준안은 그간 식약처에 제출된 국내·외 임상시험계획서와 각종 허가 임상시험 자료를 직접 검토하고, 세계보건기구(WHO) 백신 심사에 전문가로 참여한 경험 등을 토대로 골격을 마련했다.
또 국내에서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사의 의견을 수렴하고 외부 전문가들에게도 자문했다.
이번 표준안에는 임상단계별로 임상디자인, 시험대상자 선정·제외기준, 평가변수(면역원성/안전성/유효성) 등에 대한 상세 기준을 구체적인 예시를 담아 제시했다.
특히 비교임상 3상 임상시험계획서 표준안에는 대조백신 선정, 임상디자인(비열등성 또는 우월성), 평가변수, 성공기준(마진), 시험대상자 수 산출근거, 통계분석방법 등 상세 기준을 제시했다.


식약처는 “이번 표준안이 국내 연구개발자의 백신 개발 과정에 시행착오를 최소화하여 임상시험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비교임상으로 검증한 우리 백신이 해외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도록 WHO 회의 등 국제무대에서 면역원성 지표를 활용한 비교임상 3상의 과학적 타당성과 규제에 대한 유연한 적용을 설득하면서 해외 규제기관들과 논의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비교임상과 변이주 대응 백신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맞춤형 전주기 품질관리 지원, 개발 품목별 1:1 맞춤형 기술 지원 등 국산 코로나19 백신이 신속하게 개발될 수 있도록 밀착 지원해 ‘우리 백신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 백신 프로젝트’는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국내에서 개발한 국산 백신으로 자급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식약처가 연구개발부터 허가까지 백신 개발 전(全) 과정을 적극 지원할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계획서 표준안은 식약처 홈페이지 > 법령자료 >자료실 > 안내서/지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효성 임상은 만명 이상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시험하여 백신의 방어 효과를 측정하는 임상이다.
면역원성 비교임상은 수천명 규모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기존 허가받은 백신 접종자와 국내 개발 중인 백신 접종자의 면역반응 지표를 비교해 백신의 효과를 측정하는 임상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250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B8%25B0-%25E3%2580%2590pom555.kr%25E3%2580%2591-%25EC%258B%25A4%25EB%258D%25B0%25EB%2582%2598%25ED%2595%2584+%25EC%2584%25B1%25EB%25B6%2584+Visit+our+website%253A%2528%25EB%25B9%2584%25EC%2595%2584%25EA%25B7%25B8%25EB%259D%25BC%25EC%2595%25BD%25EA%25B5%25AD.kr%2529&stx2=&w_section1=&sdate=&edate=" style="font-weight:;color:#333333;">대한물리치료사협회, 국회토론회 개최…비급여 관리 실손보험 개혁 방안 문제점 논의
  • 5 백내장 수술, 실질적 입원 필요성 없으면 통원의료비로만 보상
  • 6 국립소방병원, 2025년 12월 개원 추진…19개 진료과목, 302병상 규모
  • 7 과기정통부 2025년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 8 군미필 사직 전공의들, 2월 22일 국방부 정문 앞 항의 집회 예고
  • 9 보건복지부,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 공모…최대 대표기관 14억 원 지원
  • 10 대구가톨릭대병원 신생아 학대 피해 최소 5명 추가 의혹…병원측 공식 입장 발표
  •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