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심근경색증 환자에 적합한 약물 스텐트는?지속형 대 분해형 vs. 폴리머 약물 스텐트 비교 - 서울대병원 김효수, 박 경우, 강지훈 교수팀
  • 기사등록 2021-03-23 23:56:46
기사수정

국내 교수팀이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환자에게 시술하는 스텐트에 적합한 약물용출 방식을 대규모 연구를 통해 규명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사진 왼쪽) 교수팀[박경우(사진 가운데)·강지훈 교수]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약물 스텐트 임상연구 결과,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가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에 비해 안전성 및 효과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의 대상은 40개 센터에서 6년 동안 스텐트 시술을 받은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 3,413명(지속형-폴리머; 1,713명, 분해형-폴리머; 1,700명)이다.
교수팀은 환자마다 ▲1차평가 사건(모든 원인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모든 혈관 재개통술)과 ▲2차평가 사건(심장 사망, 목표혈관 심근경색, 목표병변 혈관재개통술)으로 나눠 분석했다.
이번 연구 결과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 그룹은 1차평가 사건 발생율이 5.2%로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의 6.4%와 차이가 없었다.


2차평가 사건 발생율에서는 2.6% 대 3.9%로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목표병변 혈관재개통술의 감소가 주원인이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관상동맥 스텐트의 약물방출 폴리머 기술을 비교 분석한 최초의 대규모 임상연구이다”며, “환자에게 적합한 스텐트 선택의 지침을 제시하여 진료현장 의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심장분야 국제 최고 권위지인 ‘Circulation(IF;23)’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급성관동맥증후군은 심장근육에 혈류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죽상경화증으로 좁아진 상황에서 급성으로 혈전이나 혈류장애가 악화되어 발생한다. 급성심근경색, 급사로 이어질 수 있는 위중한 병이다.
좁아진 혈관을 확장하는 스텐트를 삽입해 협착 부위를 넓히는 시술이 일반적인 치료다. 과거에는 스텐트 시술 이후 재협착이 큰 문제였다. 최근에는 이를 막기 위해 약물을 표면에 입힌 스텐트가 주로 사용된다.

2011년 유럽에서 인증 받은 이후 국내에도 도입됐던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는 시간이 지남에 약물은 흡수가 되고 폴리머는 남는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와 달리 약물과 더불어 폴리머도 서서히 녹아 체내에 완전히 흡수된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했던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에 비해 안전성과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여겼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108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8C%EB%A6%AC%EC%8A%A4+%ED%95%84%EB%A6%84+Visit+our+website%3A%28ak55.kr%29&stx2=&w_section1=&sdate=&edate=" style="font-weight:;color:#333333;">보건복지부,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 공모…최대 대표기관 14억 원 지원
  • 7 군미필 사직 전공의들, 2월 22일 국방부 정문 앞 항의 집회 예고
  • 8 대구가톨릭대병원 신생아 학대 피해 최소 5명 추가 의혹…병원측 공식 입장 발표
  • 9 보건복지부, 2025년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행…걷기·건강관리로 포인트로 병원비 결제
  • 10 하루 환자 5명도 안 보는 보건지소 64%…대공협 “공보의 배치 부적절”
  •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