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엄지 다지증, 뼈 수술은 언제?…치료 환자 78명 관찰 연구 결과 - 서울대병원 김지형·백구현 교수, 강북삼성병원 홍석우 교수팀
  • 기사등록 2021-03-12 00:26:21
기사수정

엄지가 2개인 엄지 다지증 뼈 수술은 언제하는 것이 좋을까? 이처럼 엄지 다지증 수술법 선택기준을 제시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김지형·백구현 교수, 강북삼성병원 홍석우 교수팀은 플랫 4형 엄지 다지증 환자 78명의 치료 결과를 추적·관찰했다.

이 중 절골술을 시행한 환자는 40명, 단순 연부 조직 재건술을 받은 환자는 38명이었다. 성별, 나이 등 인구통계학 정보는 물론, 수술 전·후 중수골-엄지손가락간 각도(MDA), 수술 후 손 기능 점수(JSSH 체계) 등을 수집해 분석했다.
교수팀은 절골술이 필요한 환자의 수술 전 중수골-엄지손가락간 각도(MDA) 기준점을 찾아냈다. 수술 이전 중수골-엄지손가락간 각도가 10.8° 이상인 경우, 절골술을 선택하는 것이 단순 연부조직 재건술보다 결과가 우수했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김지형 교수는 “기존 다지증의 경우, 의사의 경험에 의존해 수술법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번 연구는 엄지 중수 수지 관절에서 10.8도 이상 각 변형이라는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선천성 수부 이상 관련 연구를 다루는 연구 출판 저널 중 가장 권위 있는 저널로 알려진 SCI 국제학술지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IF: 4.209)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손가락, 발가락 수가 정상보다 많은 경우 다지증이라 부른다. 그 중 엄지가 2개인 엄지 다지증은 손 다지증의 85%를 차지한다. 다지증 수술은 환아의 나이가 1세 전후 이른 시기에 시행할 것이 권장된다.
일반적으로 엄지 다지증은 2개의 엄지 중에서 덜 발달된 바깥쪽 엄지를 제거한다. 이때, 남겨놓은 안쪽 엄지가 안으로 휘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올바르게 교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술 시, 변형이 적다면 인대 재부착 등 연부 조직 수술로도 충분히 교정할 수 있지만, 변형 정도가 크면 뼈를 잘라 맞추는 절골술이 필요하다. 다만, 환자 상태에 맞춰 어떠한 수술법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은 없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086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1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6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 베이진,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