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간 코로나19 속에서 우리나라 의료제도에 대한 국민신뢰는 물론 의사, 간호사의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가 발표한 ‘2020 의료서비스경험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의료서비스경험조사’는 환자가 직접 체감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파악하여, ‘사람 중심의 보건의료’를 강조하는 국제사회와 비교를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로 제출되는 국가승인통계이다.
이번 조사는 전국 약 6,000가구의 15세 이상 가구원 약 1만 2,0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3일부터 10월 9일까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함께 면접조사를 실시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외래, 입원 감소
지난 1년(2019년7월1일~2020년6월30일)동안 진료를 위해 병·의원(한방, 치과 포함)을 최소 1번 이상 방문한 1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외래 60.8%, 입원 3.5%로 2019년에 비해 각각 8.5%p, 0.7%p 감소했다.
2020년 외래서비스 이용 경험을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인구 85.9%, 50대가 69.1%가 외래 진료를 목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했다.
가구소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계층(1분위)에서 의료 이용이 많은 편(외래진료 76.0%, 입원진료 5.7%)이었다.
지역별로는 상대적으로 노인인구의 비중이 높은 읍(邑)ㆍ면(面) 지역의 외래서비스 이용 경험이 62.8%로 동(洞) 지역보다 높게 집계됐다.
▲만성질환 진료 비율 감소
지난 1년 동안 주요 만성질환[국가가 제도적(수가 항목)으로 규정하여 만성질환 관리료 지급 대상이 되는 질환이며 고혈압, 당뇨병, 정신 및 행동질환(간질포함), 호흡기 결핵,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신경계질환, 암, 갑상선의 장애, 간의 질환(만성 바이러스 간염 포함), 만성신부전증이 해당]으로 진료를 받은 인구 비율은 25.0%로 2019년(29.8%)에 비해 4.8%p 감소했다.
▲주관적 건강수준 높아져
현재 자신이 건강한 편이라고 생각하는 인구 비율은 73.8%로 2019년(68.7%)에 비해 5.1%p 증가했다.
가구소득이 1분위(낮음)인 경우 54.4%가 스스로 건강하다고 응답(2019년 34.2%)한 반면, 가구소득 5분위(높음)는 82.6%가 건강하다고 응답(2019년 74.0%)했다.
(표)주관적 건강수준
◆외래 진료
▲의사 서비스…전반적 개선
‘보건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인 ‘담당의사의 태도 및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은 2019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외래 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응답자 중 95.1%가 “담당의사가 예의를 갖추어 대함”이라고 응답해 2019년(91.8%)에 비해 3.3%p 높아졌다.
또 “받게 될 치료의 효과 및 부작용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함” 91.0%, “검사나 치료방법 결정 시 내 의견을 반영함” 87.6%로 2019년에 비해 각각 4.7%p, 3.2%p 높아졌다.
질문이나 관심사를 말할 수 있도록 배려(88.6%), 의사와 충분히 대화(75.1%), 불안에 대해 공감(82.7%) 등 모두 2019년에 비해 높아졌다.
(표)외래 진료: 의사 서비스 긍정적 평가 비율
▲간호사 서비스 긍정적 평가도 높아져
담당 간호사가 “예의를 갖추어 대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2019년 89.5%에서 2020년 93.5%로 4.0%p 증가했다.
또 “진료절차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함”도 88.9%에서 91.8%로 2.9%p 증가했다.
(표)외래 진료: 간호사 서비스 긍정적 평가 비율
▲환자 안전…모든 연령 층에서 감염 불안
외래 진료 중 감염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 사람은 14.7%로 2019년(6.0%)보다 8.7%p 증가했다.
남성의 경우 13.8%, 여성의 경우 15.5%로 2019년보다 각각 7.3%p, 10.0%p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모든 연령 층에서 감염에 대한 불안을 느낀 가운데 15~19세(19.7%)가 2019년에 비해 14.4%p, 20~29세(17.1%)가 10.0%p 증가하여 젊은 층에서 불안을 더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표)외래 진료 감염 불안 경험)
외래 진료 중 ‘의료진이 진료 전 환자 신분 확인’은 97.8%로 2019년(94.3%)에 비해 3.5%p 증가했다.
또 ‘약과 관련된 부작용 경험’은 8.4%로 2019년(7.1%)에 비해 1.3%p 증가했다.
▲진료 대기
외래 진료를 받은 사람 중에서 예약없이 당일에 받은 경우는 69.7%로 2019년 대비 5.2% 감소, 희망일에 예약하여 받은 경우는 29.0%으로 4.7%p 증가했다.
또 진료 당일에 접수 후 대기 시간은 평균 17.2분(2019년보다 2.7분 단축)이었다.
◆입원 진료
▲의사 서비스…2019년 대비 전반적 개선
담당의사의 태도 및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입원을 경험한 응답자 비율은 2019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의사가 “예의를 갖추어 대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94.0%로 2019년(92.8%)에 비해 1.2%p 높아졌다.
또 “받게 될 치료의 효과 및 부작용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함” 91.8%, “검사나 치료방법 결정 시 내 의견을 반영함” 86.3%로 2019년에 비해 각각 3.7%p, 1.6%p 높아졌다.
“질문이나 관심사를 말할 수 있도록 배려함”(90.1%)과 “건강 상태에 대한 불안감에 공감함”(83.3%)도 2019년에 비해 높아졌다.
다만 “입원 중 의사와의 면담이 용이함”은 84.6%로 2019년(84.9%)에 비해 0.3%p 낮아졌다.
(표)입원 진료: 의사 서비스 긍정적 평가 비율
▲간호사 서비스…대부분 긍정적
담당 간호사가 “예의를 갖추어 대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2019년 92.1%에서 2020년 94.4%로 2.3%p 증가했다.
또 “진료절차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함” 92.4%, “연락(콜) 시 바로 응대함” 87.5%로 2019년에 비해 각각 2.1%p, 3.1%p 증가했다.
반면에 “퇴원 후 주의 사항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함”은 90.2%에서 89.6%로 0.6%p 감소했다.
(표)입원 진료: 간호사 서비스 긍정적 평가 비율
▲입원 경로
입원 진료를 받은 사람의 입원 경로를 보면 예약한 날짜에 입원(44.3%), 외래 진료 후 당일 입원(32.1%), 응급실을 통해 곧바로 입원(20.2%)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질병의 치료를 위해 입원하기 전, 다른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우는 17.5%이었다.
▲입원 대기기간 길어져
입원 진료를 받은 사람 중에서 예약없이 당일에 받은 경우는 44.4%, 희망일에 예약하여 받은 경우는 48.3%로 2019년 대비 각 0.3%p, 1.0%p 감소했다.
입원을 기다렸던 사람들의 대기 기간은 본인이 희망하는 날로부터 평균 11.6일(2019년보다 3.1일 증가)이었다.
입원 대기 사유는 “입원 병상이 없어서”가 50.8%, “수술 일정 때문” 34.1%, “특정 전문의사의 처치를 받기 위해” 14.8% 등의 순이었다.
▲환자 안전 등 시설 확인 증가
입원 환자 중 비상구, 소화기 위치 등 의료기관 내 안전시설을 확인한 사람은 32.4%로 2019년(29.3%)에 비해 3.1%p 증가했다.
“입원 중 본인이 낙상하거나(침대에서 떨어짐) 다른 환자의 낙상을 목격”한 비율은 8.9%로 2019년(18.2%)에 비해 9.3%p 감소했다.
또 “감염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 비율은 18.1%, “약에 대한 부작용”을 경험한 비율은 15.9%로 2019년에 비해 각각 9.6%p, 6.5%p 증가했다.
▲개인 간병 서비스 이용 낮아져…지불 비용 높아져
입원 진료를 받은 사람 중 간병을 위해 개인 간병인을 고용한 경우는 7.6%, 고용 기간은 평균 7.2일로 2019년(각 11.7%, 12.3일)과 비교해서 보다 낮았다.
일평균 8만 5,579원을 지불해 2019년(8만 3,745원)보다 많았다.
또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 병동을 이용한 사람의 비율은 16.9%로 2019년(9.8%)에 비해 7.1%p 증가했다.
◆보건의료제도
▲보건의료제도 국민 신뢰 높아져…“보건의료제도 변화 필요”
우리나라 보건의료제도에 대해 국민의 76.3%가 신뢰하여 2019년(65.9%)에 비해 10.4%p 높게 나타났다.
국민의 75.6%가 보건의료제도에 대해 만족하여 2019년(66.1%)에 비해 9.5%p 높게 나타났다.
보건의료제도의 변화 필요성에 대해 공공의료기관 확대(71.5%), 의료취약지역에 의료지원 강화(68.8%), 환자의 대형병원 몰림 방지(67.2%) 등 “보건의료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표)보건의료제도 인식 및 변화 필요성
▲보건의료제도 인지도 높아져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보건의료제도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국민은 39.7%로 2019년(31.5%)에 비해 8.2%p 높았다.
세부적으로 ‘동네의원 만성질환 관리서비스’는 31.4%,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해서는 46.9%가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 노형준 정책통계담당관은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제도와 의료서비스의 현주소를 국민의 눈으로 살펴보고, 이용자 관점에서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의미가 있다“며,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준이 과거에 비해 향상되었지만, 만성질환 관리서비스 등 필요한 제도에 대해 잘 몰라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제도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도 국민에 의해서 의료서비스 수준을 진단하고,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확인하여 보건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생산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0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