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응급실 도착 전 사망(DOA기준)은 총 7,715명으로 하루 평균 8명이 응급실 도착 전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현영(비례대표) 의원이 보건복지부로터 제출받은 119 구급차 이송 현황에 따르면 광역자치단체 기준으로 최근 3년간 응급실 도착 전 사망 비율이 높은 곳은 경북과 전북이 0.60%로 나타났다.
뒤이어 강원 0.44%, 제주 0.40%, 충북 0.39%, 경남 0.27%, 전남 0.26%, 충남 0.25%, 인천 0.21%, 부산 0.13%, 세종 0.12%, 경기 0.11%, 서울 0.09%, 광주 0.08%, 대전0.07%, 대구 0.06%순으로 조사돼 최대 10배 차이가 있었다.
(표)최근 3년간 119 구급차 응급실 내원 환자 중 도착 전 사망(DOA)현황
기초자치단체 기준으로 최근 3년간 응급실 도착 전 사망 비율을 살펴보면 청송 4.26%, 순창 2.88%, 괴산 2.82%, 임실 2.70%, 영천 2.44%, 양구 2.36%, 구례 2.35%, 무주 2.17%, 서천 2.09%, 고령 1.97%, 의령 1.92%, 울릉 1.59%, 태백 1.51%, 영월 1.49%, 평창 1.39%, 화천 1.28%, 영동 1.26%, 의성 1.18%, 고창·광양 1.17%, 익산 1.16%, 포항시 북구 1.05%, 장수군1.01%로 23개 기초자치단체에서는 119 이송 100건 중 1건 이상의 사망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에 자료를 공개한 신현영 의원은 “해당 자료는 의료기관 소재지 기준자료로 지역별 단순비교라는 한계점도 있지만 지역별 의료의 특성을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며, “최근 3년간 응급실 도착 전 사망은 지역별 격차가 벌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응급실 도착 전 사망은 외상이나 급성심근경색 등 중증급성질환의 환자가 응급실 이동 중 사망하는 사례와 재택 임종 후 사망 판정을 위해 응급실 방문 등 예방 가능한 사망과 그렇지 않은 사망이 혼재된 한계가 있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 국민이 어느 곳에 거주하더라도 적절한 응급의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역별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추가적인 분석 및 지역별 특성에 맞는 공공의료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3년간 119 구급차 응급실 내원 환자 중 도착 전 사망(DOA)현황, 광역자치단체 최근 3년간 119 구급차 응급실 내원 환자 중 도착 전 사망(DOA) 현황, 기초자치단체 최근 3년간 119 구급차 응급실 내원 환자 중 도착 전 사망(DOA) 현황은 (본지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