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5월 변덕스러운 날씨 속 치아질환 및 올바른 구강관리법은? - 비 내리는 날, 구강 내 세균 번식 용이해져
  • 기사등록 2020-05-12 01:39:49
기사수정

5월 봄이 되면서 비가 오거나, 미세먼지, 심한 일교차 등 잦은 날씨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이렇듯 변덕이 심한 봄철에는 건강에 많은 신경을 쓰게 되지만 구강 건강은 놓치기 쉽다.
이에 변덕이 심한 날씨에 생각해봐야 할 치아질환과 올바른 구강건강 관리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일교차 심한 날, 잇몸질환 있다면 ‘바스법’ 효과적
일교차가 심해지면 우리의 몸은 면역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감기와 같은 질환을 겪게 되고, 잇몸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감기나 독감, 몸살 등으로 몸이 약해지면 몸 안의 면역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치통이나 염증을 더 잘 유발해 잇몸질환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동두천 유디치과의원 구지은 대표원장은 “평소 잇몸상태가 좋지 않았던 경우 면역력이 떨어지면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나거나 통증이 생기는 등 구체적인 증상이 나타난다”며, “잇몸질환이 있다면 칫솔질 방법 중 하나인 바스법이 효과적이다”고 설명했다.
바스법은 칫솔모의 끝을 치아와 잇몸이 닿는 부위에 45도 방향으로 밀착해 약 10초쯤 앞뒤 방향으로 진동을 준 뒤 옆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잇몸염증이 가라앉은 후에는 일반인의 권장 칫솔질인 회전법을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바스법이 잇몸질환에는 효과적이지만 치아에 치석이 더 많이 생기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봄비 내리는 날 코막힘 증상…무알콜 구강세정제 도움
구강은 40~50%의 습도와 17~22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비가 온 날에는 외부 기온은 떨어지고, 실내 온도나 습도는 높아져 구강 세균 번식이 활발해 진다. 또 비가 내린 날에는 기온이 갑자기 떨어져 감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코막힘 증상으로 구강으로 호흡을 하게 된다. 입자가 큰 먼지는 코로 호흡할 경우 코털과 점막을 통해 어느 정도 여과된다. 하지만 구강호흡은 입 안에 여과장치가 없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혀, 치아 사이, 잇몸 등 구강 내 깊숙이 침투해 입 속 세균 농도를 높이고 각종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구지은 대표원장은 “코막힘 증상으로 구강 호흡을 자주 한다면 가글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구강세척제는 입안을 더욱 건조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무알콜 구강세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미세먼지 심한 날, 임플란트 했다면 ‘주의’ 
봄철에는 미세먼지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평소에는 문제가 없지만 구강 내 흡입되면 입 속 세균의 농도가 높아져 치주염, 잇몸질환과 치아우식 등 치아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임플란트를 식립한 경우 미세먼지 속 이물질이 임플란트 주위에 쌓여 염증을 유발하는 임플란트 주위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임플란트 주위염에 의한 잇몸뼈(치조골) 소실은 자연치아의 잇몸뼈 소실보다 위험하며, 한 번 발생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사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구지은 대표원장은 “임플란트 환자의 경우 최소 6개월에 한 번 정기적인 치과검진과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좋으며 올바른 칫솔질이 도움 된다”며, “양치질을 할 때, 플라그가 잘 끼고 미세먼지 속 이물질이 쌓이기 쉬운 잇몸과 임플란트 경계부위를 잘 닦아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557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9~10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지엔티파마, 한국로슈, 한국화이자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0~11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 파로스, 하이퍼,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0월 18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고려대구로, 서울아산, 상주적십자병원, 연세치대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