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14년 후 온열·한랭질환 사망자 162명…온열질환자, 한랭질환자보다 약 5배 많아 - 경기지역 온열·한랭질환자 최다, 취약계층 폭염 대책 절실
  • 기사등록 2019-10-01 01:18:25
기사수정

지난 2014년 이후 온열·한랭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162명을 기록한 가운데 온열·한랭질환자가 약 1만 5,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여성가족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울 도봉갑)의원이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으며, 전국 폭염·한파 취약계층은 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질환, 열탈진…한랭질환, 저체온증 최다   

이에 따르면 2014년 73만 7,142명이었던 폭염·한파 취약계층은 올해 9월 기준 112만1,996명으로 늘어났다. 2019년 9월 현재 폭염·한파 취약계층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서울(20만 4,188명), 경북(15만 0,300명), 전남(13만 8,289명) 순으로 많았다.

2014년 이후 온열·한랭질환 환자는 1만4,095명이었고, 162명이 사망했다. 이 중 온열질환 환자는 1만1,678명(사망자 99명), 한랭질환 환자는 2,417명(사망자 63명)으로, 온열질환 환자가 한랭질환 환자보다 약 5배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질환별로 살펴보면 온열질환 환자 중 54.9%(6,417명)가 열탈진, 23.2%(2,707명)가 열사병 현상을 보였다. 한랭질환 환자는 79.9%(1,930명)가 저체온증, 15%(363명)가 동상이었다. 


◆40~60대 온열질환에 취약…남성이 더 많아 

시도별로는 경기(2,031명), 경남(1,234명), 전남(1,091명) 순으로 온열질환 환자가 많았고, 경기(472명), 서울(237명), 강원(208명) 순으로 한랭질환 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연령별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외부활동이 많으면서도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한 40~60대가 온열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50대 환자는 2,581명(22.1%), 40대 환자는 1,866명(16.0%), 60대 환자는 1,800명(15.4%)이었다. 한랭질환 환자는 50대(502명, 20.8%), 60대(404명, 16.7%), 80대(402명, 16.6%)순으로 많았다. 

성별로 보면 온열질환과 한랭질환 모두 여성(25.1%)보다는 남성(74.9%)에게서 많이 발생했다. 


◆폭염 대책에 더 많은 관심 필요 

지난해 8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폭염과 한파가 자연재난에 추가됐다. 이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폭염과 한파에 대한 예방과 지원, 보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따라 지난해 보건복지부는 약 4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4만9,990건의 난방비를 긴급지원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경우 난방비만 지원하던 에너지바우처 사업을 올해부터 냉방비 지원까지 확대하기도 했다.

인재근 의원은 “온열질환 환자의 발생 추이를 감안할 때 폭염 대책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복지부의 취약계층 긴급복지지원 사업에 냉방비 지원을 추가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며, “폭염 및 한파가 자연재난으로 새롭게 규정된만큼 무더위·한파 쉼터 운영 점검 등 취약계층 폭염·한랭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4~2019.9. 연도별 시도별 폭염·한파 취약계층 현황, 

2014~2019.9. 온열질환 환자 및 사망자 현황

2014~2019.9. 한랭질환 환자 및 사망자 현황 

2014~2019.8. 복지부 긴급복지지원 난방비 지원 현황은 (바로가기)를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262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셀트리온, 신신제약, 파로스아이바이오,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