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생존 남성 3명 중 1명은 여전히 흡연중이며, 음주를 즐기는 여성의 흡연율이 비음주자보다 21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희진·지선하(사진 오른쪽) 교수팀이 한국의학연구소와 함께 20∼64세 한국 성인남녀 9만 1.0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했다. 교수팀은 암질환 과거력 유무를 기준으로 암생존자군(남 1,375명, 여 671명)과 비(非) 암생존자군으로 분류했으며, 각 집단에 대한 설문·신체계측·혈액검사 등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암 생존자의 현재 흡연률은 비(非) 암 생존자에 비해 낮았다. 하지만 암 질환 진단을 받은 암생존자 가운데 남성의 33.53%, 여성의 2.53%가 여전히 흡연을 지속하고 있었다.
남성 암 생존자의 경우 50세 이하 젊은 연령일수록 현재 흡연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51∼64세 집단에 비해 20-39세 집단은 흡연을 시행할 위험도가 2.47배 높았으며, 40-50세 집단은 흡연 시행 위험도가 1.43배로 나타났다.
만성질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엔 1.29배 더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남성 암 생존자도 1.14배 더 높은 흡연 유지확률을 나타냈다.
여성 암 생존자 역시 규칙적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그룹이 1.14배 더 흡연을 유지할 위험성이 높았다.
남·녀 그룹 모두 음주를 하는 그룹이 非음주 그룹에 비해 흡연을 하게 될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성은 2.80배 정도 음주그룹의 흡연 위험도가 높았으며, 여성은 21.15배나 담배를 즐길 위험도가 높게 측정됐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희진 교수는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암 진단 후에도 금연하지 못하는 현재 흡연 관련 요인을 분석하되 흡연 양상과 관련 요인을 심화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깊다.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흡연을 유지하는 암 생존자 위험군에 대한 금연치료 필요성이 공감되길 바란다. 특히, 암 생존자들이 반드시 금주해야 하는 필요성이 사회 전반에 형성됐으면 한다” 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지원 및 KMI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성인 암 생존자의 흡연 양상과 현재 흡연 관련 요인’이라는 제목으로 대한금연학회지에 게재됐다.
한편 암생존자는 암진단 후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부터 치료 후 생존하고 있는 모든 사람을 통칭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