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상 최고 폭염과 폭설 기록한 2018년, 왜일까? - 기상청 ‘2018년 이상기후 보고서’ 발간
  • 기사등록 2019-03-31 19:00:01
기사수정

지난한해는 사상 최고 폭염과 폭설을 기록하며, 이상기후로 관심을 모은 한 해이기도 하다.
기상청(청장 김종석)은 2018년에 발생한 △한파 △폭염 △태풍(집중호우) 등의 이상기후 발생 원인과 분야별(농업, 해양수산, 산림, 환경, 건강, 국토교통, 산업·에너지, 재난안전 총 8개 분야) 피해 현황을 담은 ‘2018년 이상기후 보고서’를 발간했다.
관계부처(△국무조정실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23개 기관)와 합동으로 발간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에는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강한 한파로 1월 말과 2월 초 사이 1973년 관측 이래 가장 낮은 최저기온을 보인 반면, 장기간 지속된 폭염으로 일최고기온 최고치를 경신(41℃, 홍천) 하는 등 극한의 기온 변화를 보였다.


◆한파·이상저온
1월 23일~2월 13일에는 전국적으로 강한 한파와 대설이 발생하여 1973년 이후 최저기온을 기록했으며, 이에 대한 여파로 한파에 취약한 제주공항, 여수공항의 항공기 결항이 많았다. 
겨울철 한파(1월 후반∼2월 전반)로 한랭질환자가 631명(사망 11명) 발생하여 2011년 이후 최다 질환자 수를 기록했으며, 해양 저수온으로 약 103억 원의 수산업 피해가 발생했다. 
봄철 이상고온으로 과수 개화가 앞당겨진 가운데, 일시적인 이상저온(4월초)으로 과수 꽃 냉해(50,466ha) 등의 농업 피해가 발생(전국 8,464가구)했다. 이에 가을철 수확이 급감하며 사과, 배 등의 과수 가격이 급등했다.


◆장마·폭염
장마는 1973년 이후 두 번째로 짧았으며(장마일수 14∼21일), 그 이후에는 폭염이 장기간 지속됐다.
전국 평균 폭염일수는 31.4일(평년 9.8일), 열대야일수 17.7일(평년 5.1일)로 관측 이래 최다 1위를 기록했다. 
8월 1일에는 홍천의 일최고기온이 41.0℃를 기록해 관측 사상 최고기온을 보였으며, 서울도 39.6℃가 관측되어 111년(1907.10.1.)만의 극값을 기록했다.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 수는 4,526명(사망 48명)으로 2011년 이후 최다를 기록했으며, 최대 전력 수요는 92,478MW(7.24.)를 기록하여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또 해양 고수온 현상이 지속되면서 어류 집단 폐사 등의 양식생물 피해가 604억 원 발생했다.


◆태풍·집중호우
10월 5~6일에는 제25호 태풍 콩레이가 상륙하면서 많은 비를 내려 10월 전국 강수량(164.2㎜)이 1973년 이후 최다 1위를 기록했다.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8.26.∼9.1.)로 414억 원의 재산 피해가 있었으며, 태풍 콩레이의 내습으로 경상도 동해안 일대가 침수되어 2명의 인명 피해와 549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과거에는 경험하지 못한 급변하는 기후변화로 사회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이상기후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관계부처·기관 간 협업이 중요하다”며, “관계부처 합동 ‘2018년 이상기후 보고서’는 이상기후에 의한 분야별 원인과 영향을 자세히 파악하여 범부처가 공동 대응하는 데 초석이 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2018년 이상기후 보고서’는 (기후정보포털) 열린마당>발간물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999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9~10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지엔티파마, 한국로슈, 한국화이자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0~11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 파로스, 하이퍼,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0월 18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고려대구로, 서울아산, 상주적십자병원, 연세치대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