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중증 감염환자의 이송에 용이한 3억짜리 재난·감염병 특수구급차(음압구급차)를 30대 사들였지만 지금까지 감염병(의심) 환자 이송으로 단 3회 이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더불어민주당·송파구병)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응급의료센터에 배치된 음압구급차 30대의 이송실적’에 따르면, 2017년 총 333회, 2018년(1월~8월) 총 157회 운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운영실적은 평상 시 일반 중증응급환자 이송 및 감염병(의심)환자 이송을 모두 포함한 실적으로, 감염병(의심) 환자 외의 일반 환자도 이송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 중 일반 환자 이송으로 332회(2017년), 155회(2018년) 운행한 반면, 감염병(의심)환자 이송으로 1회(2017년), 2회(2018년) 운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의심환자 신고건수가 2017년 1248건, 2018년 1361건(2018.10.8.기준), 그 중 의심환자는 2017년 220명, 2018년 281명(10.8기준)이나 됐음에도 구급차 30대로 감염병 환자를 위해 이송한 실적은 고작 3회밖에 안됐다는 점이다.
(표)응급의료센터에 배치된 음압구급차 30대의 이송실적
남인순 의원은 “복지부의 ‘메르스 대응 지침 [제5-1판]’에 따르면, ‘의심환자는 운전석과 의심환자 탑승석이 물리적으로 차폐된 구급차를 이용하여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으로 이송’하면 된다고 쓰여 있을 뿐, 음압구급차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며, “지침에 없기 때문에 보건소에서 굳이 권역별응급의료센터에 있는 음압구급차를 이용하기 위해 연락을 따로 취하지 않아 이런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고 지적했다.
또 “메르스 대응지침을 지금이라도 수정하여 감염병 환자 발생시 음압구급차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음압구급차를 이미 다른 곳에서 사용하고 있어서 운행이 불가할 경우에만 일반 차폐된 구급차를 사용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복지부에서 보건소의 음압구급차 배치 필요성 검토를 하고 있다고 들었다. 보건소 배치를 위해 음압구급차를 더 사들이기보다는,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음압구급차부터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음압구급차는 지난 2015년 총 186명이 감염되고 38명이 사망한 메르스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7,153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여, 그 중 감염병 환자의 안전한 이송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93억 원을 편성했다.
전국 어느 곳에서나 1시간 이내에 차량 파견이 가능토록 조치하기 위해 한 대 당 2억8000만 원짜리 음압구급차를 30대 구입하여 전국 의료기관 30곳에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7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