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이 폐경 이후 여성들과 70대 이후 남성에서 흔하지만 골다공증이라는 질환 자체에 대한 인지율이나 약물 지속율이 낮기 때문에 골다공증성 골절이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김병관) 가정의학과 오범조 교수는 지난 7월 1일 강릉씨마크호텔에서 개최된 대한골다공증학회 하계연수강좌에서 ‘골다공증의 역학’이라는 강의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오범조 교수에 따르면 인간의 뼈는 40대가 되면 강도가 약해지기 시작하는데,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골다공증’으로 정의한다.
노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이 골다공증이 의료비용의 증가를 비롯한 각종 보건학적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골밀도 검사는 지난 2007년부터 국가건강검진 사업에 포함됐다.
만 66세 생애전환기 사업의 하나로 여성에 한해 시행되었는데, 50대 여성의 22.5%가 골다공증이 있고, 65세 이상의 여성의 경우 61.4%가 골다공증임에도 골다공증에 대한 인지율(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은 24.7%에 그쳐 당뇨·고혈압 인지율(60%~70%)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가 부러지면 욕창, 폐렴, 패혈증과 같은 2차 합병증으로 인하여 1년 이내 사망할 확률이 20%에 육박하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다.
그럼에도 골다공증을 진단받고 약물 치료를 시작한 지 1년 후에 60% 이상이 약물을 중단하고 있는 통계를 감안할 때, 조기 진단 뿐 아니라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2018년에는 국가건강검진 항목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검진주기가 조정됐는데, 이전의 66세 여성을 대상으로 1회 시행되던 것에서 54세와 66세 2회로 확대됐다.
오 교수는 “이를 통해 폐경 후 여성의 경우 조기에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환자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6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