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비비안트, FRAX 기준 10 년 내 척추 골절 위험 유의하게 감소 - 한국화이자제약, 골다공증 치료제 비비안트 ‘VIP 심포지엄’ 개최
  • 기사등록 2018-06-05 23:47:40
기사수정

“비비안트는 FRAX를 바탕으로 진행된 연구 결과, 10년 골절 위험이 높은 환자일수록 골절 위험을 감소시키는 의미있는 효과를 보였다” 


세계폐경학회 이사를 역임한 스페인 팔라시오스 여성전문병원(Instituto Palacios Salud y Medicina de la Mujer) 병원장 산티아고 팔라시오스 박사(Prof. Santiago Palacios)는 지난 5월 26일~27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이 골다공증에 대한 국제적인 최신 지견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한 ‘비비안트 VIP (Viviant is Initial therapy of PMO treatment) 심포지엄’에서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치료에 있어 비비안트(성분명: 바제독시펜)의 효과’에 대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영국 골다공증 가이드라인인 NOGG(National Osteoporosis Guidance Group)에서도 골다공증 관리에 있어 FRAX를 동반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고 설명했다.


팔라시오스 박사는 이처럼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관리의 목표인 골절 예방을 위해 10년 골절 위험도를 평가하는 ‘FRAX’(Fracture Risk Assessment Tool)에 대해 강조했다. FRAX는 환자에 있어 골량(BMD) 뿐만 아니라 다른 위험 인자들을 고려해 골절 위험을 통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모델이다.


비비안트 VIP 심포지엄은 그간 예방과 치료를 구분했던 골다공증 관리와는 달리, 골절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FRAX(Fracture Risk Assessment Tool)’를 통해 환자의 골절 위험도를 미리 식별하고 골다공증의 조기 관리를 돕는 골다공증 관리 트랜드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포지엄 좌장으로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정호연 교수와 경북대학교병원 정형외과 박일형 교수가 참여했다.  


한국화이자제약 화이자 에센셜 헬스(PEH) 사업부 메디컬 디렉터 권용철 상무는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폐경 후 골다공증 치료에 대한 국제적인 동향과 더불어 자사의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비안트의 주요 데이터도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어 뜻 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국내 골다공증 환자들의 치료 환경과 더 나은 삶의 질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학술 교류의 기회를 마련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폐경 후 골다공증 초기 치료에 있어 바제독시펜의 적절성(고려의대 안암병원 정형외과 박시영 교수) ▲폐경 후 골다공증 치료의 장기 관리(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채희동 교수) ▲골절 위험 인자를 가진 초기 폐경 후 골다공증 환자에 대한 전략적 접근(원광의대 산본병원 내분비내과 김하영 교수) ▲폐경 이후 골다공증 환자의 취약성 골절에 대한 지견(부산의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조형준 교수) ▲폐경 후 골다공증 환자의 통증 치료에 대한 복합적인 접근(가톨릭의대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오인수 교수) 등의 주제가 다뤄졌다. 


한편 비비안트는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인 SERM(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계열의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제로 척추골절의 발생을 감소시키 는데 효과가 있다. 


3년간 진행된 임상시험 결과 비비안트는 위약 대비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 위험을 42%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7년간 장기 임상 연구를 통해서도 지속적인 효과 및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한 바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601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