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인지기능저하위험…수면까지 30분이상 40%, 수면8시간이상 70%UP -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팀 60대 이상 노인 2,893명 수면 습관 4년간 추적…
  • 기사등록 2018-04-03 18:45:26
기사수정

60대 이상 노인들이 잠드는데 30분 이상이 걸리거나 하루에 8시간 이상 자는 경우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팀은 2,893명의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4년간의 추적관찰을 통해 이같은 인지기능 저하(경도인지장애 혹은 치매)를 유발하는 수면 특성에 대해 조사했다.


이번 연구 결과 정상 노인의 경우 누워서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30분 이상으로 길면 인지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40%p 높아졌으며, 총 수면 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70%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년간 이런 패턴이 유지되는 사람이나, 원래는 정상이었찌만 최근 4년 사이에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어난 사람들은 인지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2배나 높아졌다.


반면에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사람은(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의 중간점이 새벽 3시보다 늦은 사람) 인지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오히려 40%p나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잠들 때까지 긴 시간이 걸린 사람들은 4년 후 인지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30%p 낮았고, 원래는 정상이었지만 최근 4년 사이에 잠들 때까지 걸린 시간이 길어진 사람들은 정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40%p 낮아졌다.


수면 습관이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이 낮은 패턴으로 변화한 경우에도, 인지기능 저하 위험은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면 습관이 직접적으로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이미 진행되고 있는 인지저하를 나타내주는 표지자의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일례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뇌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 확률이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늦게 취침에 들고, 늦게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전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시상하부 기능에 손상이 오고, 이로 인해 낮 동안 쌓인 수면 욕구를 이겨내지 못하게 되면서 수면주기가 앞당겨 진다는 연구결과가 알려진바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기웅 교수는 “앞으로 간단한 설문을 통해 수면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치매 고위험군을 정의할 수 있게 됐다”며, “나이가 들면서 수면 패턴에 변화가 생길 경우 인지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에 더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보건산업진흥원 지원으로 8년째 진행되고 있는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Korean Longitudinal Study on Cognitive Aging and Dementia; KLOSCAD)’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신경학회보(Annals of Neurology, IF=9.890) 2018년 2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편 그 동안 수면 이상과 치매와의 관계에 대해 보고한 연구들이 일부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수면습관이 치매를 비롯한 인지감퇴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일관된 연구 결과가 없었고, 대규모 표본을 통해 다양한 수면 습관을 동시에 분석한 연구는 전무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91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사노피, 한국MSD, 한독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23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서울대, 삼성창원, 이대목동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