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가 외과 계열 교육상담료 개발을 위한 협의체를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협의체는 지난 1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울사무소에서 제1차 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으로 논의를 시작했다.
현행 교육상담료는 암, 심장질환 등 중증질환과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 위주(총 11개 질환 및 의학적 상태-급여 4개 : 암환자, 심장질환, 장루·요루, 만성신부전/ 비급여 7개 :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재생불량성빈혈, 치태조절, 유전성대사장애질환, 난치성뇌전증)로 인정되고 있다.
실제 내과계열은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등을 통하여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 교육상담 중심으로 일부 논의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외과계열은 질병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기본적 진료행위와 별도로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설명이 필요한 경우(수술전후 환자의 의학적 관리 및 주의사항 등에 대한 교육, 통증치료를 위한 운동교육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일시적·반복적으로 교육이 필요한 경우)가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미흡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외과계 교육상담의 필요를 파악하고, 특성에 맞는 교육상담료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별도의 협의체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 협의체에서는 교육상담을 통해 환자의 자가관리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환자 상태에 대한 개선효과가 높아 교육상담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분야를 적극적으로 발굴해나갈 예정이다.
제2차 회의는 3월초에 개최한다는 계획이며, 필요한 경우 올해 내 시범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복지부 보험급여과는 “환자의 다양한 질병 상태에 맞는 교육상담료(환자가 자신의 질환 및 치료과정을 이해하여 합병증 예방 등 자가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상담을 실시한 경우 지급되는 수가) 활성화를 위하여 협의체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