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당뇨, 아시아인 암 중요 원인 확인…당뇨환자 선별적 암검사 필요 - 서울의대 주도, 아시아인 7개국 77만 명 12년간 추적관찰 결과
  • 기사등록 2017-03-24 00:58:49
  • 수정 2017-03-24 01:01:51
기사수정

최근 당뇨병이 아시아에서 서양보다 높아지기 시작한 가운데 당뇨병이 암으로 인한 사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대규모 코호트 연구가 발표돼 눈길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의대 유근영 교수팀[강대희, 신명희(성균관의대)]은 ‘아시아 코호트 컨소시엄’을 통해 7개국(한국, 일본, 중국, 대만, 인도,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77만 명을 2005년부터 12년간 추적 관찰했다.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세계 최초이다.

교수팀은 제2형 당뇨병을 가지고 있으면 모든 종류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26% 더 높았다고 밝혔다.
3-3.jpg
 
질환별로는 ▲자궁내막암 2.7배 ▲간암 2배 이상였고 그 밖에 ▲갑상선암(99%) ▲신장암(84%) ▲유방암(72%) ▲췌장암(53%) ▲담도암(41%) ▲대장직장암(41%) 등의 사망률이 당뇨병으로 인해 높아졌다. 

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암 사망률 위험도
3-2.jpg

그동안 2형당뇨와 암발생/사망 관련성은 주로 서양인 대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럼에도 아시아에서 당뇨 유병률이 증가해 암발생이 주요 보건 문제로 대두된 각국에서 당뇨와의 관련성에 관심이 많았다.

앞서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이 아시아인이 더 민감하다는 연구가 발표된 바 있어 이번 연구는 서양에서 보고된 당뇨-암발생 연구결과와의 비교를 위한 필요성에 있어 높은 주목을 받았다.

교수팀은 소화기계 암이나 유방암에 미치는 당뇨의 정도는 아시아인이나 서양인 모두 비슷하다고 평가했다.

유근영 교수는 “제2형 당뇨병은 아시아인에게 중요 암 위험인자라는 사실을 새로 확인했다. 아시아 각국은 최근 급증하는 암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생활습관 개선 등 당뇨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아울러 당뇨병 환자에 대한 선별적 암검진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아시아의 다양한 인종, 백 만명을 대규모 표본으로 했으면서도 불필요한 교란변수 영향을 모두 보정했다.

또 과학적으로 가장 신뢰성 높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나온 결과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된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적인 당뇨병 전문저널‘Diabetologia(IF= 6.206) 3월 7일자에 게재됐다.

한편 제2형 당뇨병은 20대 이후 당뇨 진단 환자의 95% 이상. 1형 당뇨가 선천적 인슐린 분비기능이 부족한 것에 비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2형당뇨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 기능은 정상이지만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생활습관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9028472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