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션트수술 후 새 수술법으로 머리 크기와 뇌압 등 좋아져 -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윤수한 교수, 소두증·유합증에도 신연방법이 안전하…
  • 기사등록 2017-01-12 14:05:27
  • 수정 2017-01-12 14:09:01
기사수정

션트수술 후 발생하는 가는뇌실증후군이나 유합증, 특히 뇌압 상승이나 소두증을 동반하는 합병증에 새 수술법으로 머리 크기와 뇌압 등이 좋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윤수한·박동하 교수팀이 개발한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TC-TSuDO: Total Calvarial Trans-sutural Distraction Osteogenesis)이 비교적 간단하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국제 저명 학술지에 발표된 것이다.

션트수술은 환자의 뇌척수액 통로에 션트(shunt)라는 유연한 튜브를 집어넣어 뇌척수액을 복강 등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흡수되도록 만들어 주는 수술로, 증가한 두개강 내압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문제는 소아의 경우 성장을 하기 때문에 션트수술 후에 뇌와 머리뼈의 성장 차이로 인해 수술 환자의 10~30% 정도에서 가는뇌실증후군이나 유합증, 그리고 소두증과 같은 후유증이 발생한다.

이때 치료를 위해서 션트 밸브의 압력을 높이거나 척추션트를 추가하거나 두개골확장술을 시행해야 한다.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윤수한 교수와 성형외과 박동하 교수팀은 2004년에서 2012년까지 이 병원에서 션트수술을 한 환아 254명 중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을 받은 환아는 26명이었다.

이 26명 중 14명은 션트 후 가는뇌실증후군, 4명은 션트 후 유합증, 8명은 가는뇌실증후군과 유합증이 동시에 있었으며, 소두증은 15명에서 있었다.

션트수술을 받을 당시 평균연령은 평균 8.2개월이었고, 션트수술 후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을 받을 때까지 평균기간은 26.8개월이었다.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을 받을 때 환아의 평균연령은 33.3개월이었다. 교수팀은 환아 26명의 머리둘레, 요추천자뇌압, 발달지수, 수술요인, 수술 후 합병증을 조사했다.

이번 조사결과, 평균 수술 전 머리둘레가 표준편차 ±2.1이었는데 수술 후에는 ±1.4로 상승했다.

평균 수술 전 요추 천자 뇌압은 26.2cmH2O였는데 수술 후에는 11.9cmH2O로 감소했다.

평균 수술시간은 138분으로 기존의 단순 두개골 절제술에 비해 평균 5시간 정도 짧았고, 평균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0.27일로 단순 두개골 절제술에 비해 평균 2~4일이 짧았다. 수술 후 사망은 없었지만 2명의 환아에서 신연기 고장이 있었고, 1명의 환아에서 상처감염이 있었다.

이에 대해 윤수한 교수는 “션트 후 유합증이 있는 환아에서 머리뼈의 일부를 신연방법으로 치료한 결과를 2006년에 세계에서 처음 보고했고, 신연수술의 적용 대상을 확대하여 션트 후 소두증과 가는뇌실증후군에서도 적용하되 신연방법의 범위를 머리뼈 전체로 확장하여 세계 최초로 보고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2-14.jpg

또 “션트수술 후 발생하는 가는뇌실증후군이나 유합증 같은 합병증에서, 특히 뇌압상승이나 소두증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이 기존수술보다 더 간단하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라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며, “이 수술법은 전체 두개골을 동시에 신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수술이 간단하고, 모양도 기존 방법보다 좋으면서도 재수술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윤수한 교수와 박동하 교수팀은 그동안 국제학회를 통해 2011년에 유합증 환아 22명에서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의 신연방법보다 간단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렸고, 2015년에는 유합증 환아 285명에서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때 시행한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 방법을 두개골 전체로 범위를 확장하여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법을 개발했고, 이를 션트후 유합증 환자에 적용한 결과를 2015년에 국제논문으로 다시 발표했다.

이 수술법을 션트 후 가는뇌실증후군과 소두증 환자에 확대 적용한 결과가 이번에 국제 저명 학술지 ‘World Neurosurgery’ 2016년 10월 3일 온라인에 게재됐으며, 2017년에 정식 출판 예정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8419752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비보존제약,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8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알피바이오, 한국머크, 펩트론,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화이자제약,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