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병원(원장 김성덕) 신경과 한수현 교수가 지난 26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개최된 제11회 대한수면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급성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불안증후군 발생에 영향을 주는 혈관 위험인자와 하지불안증후군이 급성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라는 주제로 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한 교수는 지난 2013년~2016년 기간 동안 332명의 급성허혈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맥파전달속도(PWV)가 뇌졸중환자에서 하지불안증후군 발생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하지불안증후군이 나타날 경우 뇌경색 발생으로 부터 3개월 후 신경학적 예후를 나타내는 인자인 mRS 점수를 악화시키는 위험인자로 작용하여 하지불안증후군이 뇌경색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한 교수는 “현재까지 하지불안증후군과 뇌혈관 질환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학계에서 논란이 있는 상태이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두 질환사이 관련성을 더 강화시키고 그 기전에 대한 근거도 일부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뇌졸중을 비롯한 혈관 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수면장애에 대하여 연구를 지속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한수현 교수는 중앙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아산병원에서 전임의 수련을 마친 뒤 현재 중앙대병원 신경과 임상조교수로 재직중이며, 수면연구학회 학술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불면증 및 수면장애, 뇌전증, 뇌졸중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