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립선 조직검사 합병증 관리, 예방적 항생제 사용법 중요 - 분당서울대병원 이상철 교수팀, 4,225명 중 패혈증으로 인한 쇼크·사망 없이…
  • 기사등록 2016-11-03 00:13:22
  • 수정 2016-11-03 00:15:43
기사수정

전립선 조직검사의 합병증 관리를 위해서는 예방적 항생제 사용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기과 이상철 교수팀은 전립선 조직검사와 패혈증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전립선 조직검사를 받은 4,225명을 대상으로 합병증 발병에 대한 정보를 분석했다.

이번 연구결과 4,225명 중 13명(0.3%) 만이 전립선 조직검사 후 열성감염으로 입원치료를 받았고, 13명 모두 패혈증으로 인한 쇼크나 사망 없이 호전된 후 퇴원했다. 이는 기존의 일반적인 연구 혹은 현재까지 타 기관에서 발표된 패혈증 발생률 결과인 0.8~3.6%와 매우 대조되는 결과이다.

이상철 교수는 “이 같은 우수한 결과가 나온 원인은 전립선 조직검사 30분전에 사용하는 예방적 항생제 사용 프로토콜에 있으며, 또 조직검사를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퀴놀론계열 항생제 대신에 세파계열 항생제를 사용한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국내에서 검출되는 대장균 중 25%가 퀴놀론계열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반면, 세파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은 5%로 둘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또 “조직검사 시에 당뇨병이나 고령 등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엄격하게 관리한 점도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 발생 방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일반적으로 예방적 항생제에 대한 분석은 대규모 연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하지만 분당서울대병원은 개원 때부터 적용된 전자의무기록과 5,000명이 넘는 많은 환자가 전립선 조직검사를 시행 받았다는 점은 많은 수의 환자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가능하게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전립선 조직검사 후 발생할 수 있는 패혈증에 대한 예방적 항생제의 사용 프로토콜 및 조직검사 후에는 충분한 휴식과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 환자의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이를 임상데이터웨어하우스(CDW)와 잘 연계하여 이용한다면 대규모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의학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전립선암은 남성에서 두 번째로 흔하게 진단되고 있는 암으로, 개발도상국에 비해 선진국에서 더 높은 발생률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해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암이며, 2013년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한해 전립선암의 발생은 총 9,258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8.2%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전립선암은 혈중 전립선특이항원(PSA, 전립선 이외 조직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아 전립선암 선별에 유용한 종양표지자)의 수치가 3.0ng/mL 이상으로 높게 측정되거나, 손가락을 넣어 전립선을 만져보는 촉진검사에 이상소견이 발견될 때 조직검사를 시행해 진단하게 된다.

전립선 조직검사는 전립선암을 확진할 수 있는 유일한 검사방법으로 직장으로 초음파를 삽입한 후 전립선을 향해 검사 바늘을 관통시킨 후 조직을 얻고 병리검사를 통해 최종 암 발생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그런데 전립선 조직검사 실시 후에는 혈뇨, 혈변, 혈정액증과 같은 합병증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보통은 경과관찰을 하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나, 일부 환자에서는 직장에 상주하는 균이 전립선 내부로 침투하여 전립선염을 일으키고, 감염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패혈증으로 까지 악화될 수도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7809953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