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부고]‘간 박사’ 김정룡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 기사등록 2016-10-11 13:38:20
  • 수정 2016-10-11 13:39:12
기사수정

간 박사’ 김정룡 서울대 명예교수님(한국간연구재단 이사장) 께서 11일 노환으로 별세.
 
2016년 10월 11일(화) 별세
빈   소 :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   인 :  2016년 10월 13일(목) 오전8시
장   지 :  광릉추모공원
연락처 :  2072-2011 (장례식장) 2072-2228 (내과의국) 
 
고인의 이력 및 주요 업적
1935년 함경남도 삼수에서 출생
1959년 서울대의대 졸업
1966년 서울대대학원 의학박사 취득
1971년부터 서울대의대 내과 교수로 재직
아시아태평양소화기병학회장, 대한내과학회 이사장 및 회장 등 역임

고인은 1960년대 말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의 주요 원인이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임을 규명했다.

1973년 B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을 혈청에서 분리하는데 성공한데 이어, 혈청에서 분리된 항원을 이용해 B형 간염 바이러스와 연관된 급만성 간염, 간경변증 및 원발성 간암의 퇴치에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을 개발해 1979년 실용화하는데 성공했다.

당시 고인이 개발한 백신은 외국 제품에 비해 가격이 약 10분의 1정도로 저렴하면서도 효능이 우수해 국가 보건 경제적 측면에서 막대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1980년대 중반 이후 학령기 아동과 일반인은 물론 신생아 예방 접종에 B형 간염 백신이 추가됨에 따라 과거 10%에 달하던 우리나라 B형 간염 유병률을 5% 이하로 감소시켰을 뿐 아니라 소아와 유아 등의 감염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이처럼 고인은 만성 간질환 및 간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간염 퇴치에 기여함으로써 ‘간 박사’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국민 보건 증진에 크게 공헌했다.

고인은 간염 백신 개발을 통해 얻은 수익으로 1984년 한국간연구재단을 설립한데 이어 1986년에는 서울대 부속 간연구소를 세워 국가에 헌납함으로써 간질환을 비롯한 소화기 질환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최신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이같은 공적으로 1984년 국민훈장 모란장, 2011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7616067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