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조울증, 우울증 치료의 새 길 제시 - 고대안암병원 이헌정 교수…조증, 우울증과 생체리듬 간의 상관관계 밝혀
  • 기사등록 2016-09-29 01:18:14
  • 수정 2016-09-29 01:19:43
기사수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헌정, 조철현 교수팀이 조울증, 우울증에 발생의 새로운 기전을 밝혀내고 새로운 기분장애 치료법의 가능성을 열어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26명의 기분장애 환자에서 발생한 31회의 조증 및 우울증 삽화와 18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3년여에 걸쳐 시행한 것으로, 입원 초부터 퇴원 전까지 환자의 기분 양상과 생체리듬 변동을 2주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측정했다.

낮밤의 변화와 인체의 생체리듬이 일치하는 것이 정상인데, 이헌정 교수팀의 연구 결과 기분장애 환자들의 생체리듬이 조증에서는 정상보다 당겨져 있고 우울증에서는 지연되어있는 등 정상에서 심하게 벗어나 있음을 규명했다.

코티졸 호르몬의 농도는 아침에 최고치를 보이는 것이 정상이다. 그런데 조증에서는 자정 무렵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상적으로 오후 3시에 최고치를 보이는 시간유전자(PER1/ ARNTL)의 발현이 조증에서 아침에 최고치를 보이며 심하게 앞으로 당겨져 있는 양상을 나타냈다.

반면 우울증에서는 코티졸 농도와 시간유전자의 발현이 정반대로 심하게 뒤로 밀려진 현상을 보였다.

즉 급성 조증인 경우 정상보다 평균 7시간 앞당겨 있었고, 우울증 상태에서는 4~5시간 지연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러한 생체리듬의 변동은 기분증상이 호전됨에 따라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분장애와 생체리듬 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입증됐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약물치료 만으로는 한계를 보이는 기분장애의 극복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생체리듬의 교란이 조울증과 우울증의 중요한 발생 기전이며, 이 리듬을 바로잡는 새로운 치료법과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조울증과 우울증의 발생과 재발을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헌정 교수는 “생체리듬은 태초에 생명체가 만들어진 지구의 자전에 의하여 생겨난 낮밤의 변화에 따른 만들어진 본능으로 아침에 밝은 태양 빛을 눈으로 보는 것을 통하여 조절된다”며, “인공조명과 실내 생활로 생체리듬이 어긋나기 쉬운 환경에 살고 있으며, 이것이 최근 현대인에서 조울증, 우울증 등의 기분장애의 증가의 한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핀란드 국립보건원의 티모 파토넨(Timo Partonen) 교수는 이번 연구와 함께 실린 코멘트를 통해 “이헌정 교수팀의 논문은 조울증의 의학적 이해를 넓히는 수준을 넘어, 조울증의 치료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준 획기적인 계기이다”고,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이헌정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기존 약물치료에 의존했던 조울증 치료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다”며 “대증적인 치료가 아닌 근본적인 치료 및 예방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이번에 발표된 논문 ‘Advanced Circadian Phase in Mania and Delayed Circadian Phase in Mixed Mania and Depression Returned to Normal after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은 국제저명학술지 EBio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7507943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