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화이자제약,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입랜스 국내 승인 - 임상결과, 레트로졸 단독요법 대비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 2배 연장
  • 기사등록 2016-08-31 19:35:20
  • 수정 2016-08-31 19:44:05
기사수정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 입랜스(IBRANCE, 성분명 팔보시클립)가 지난 29일  호르몬 수용체(HR)-양성 및 사람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2(HER2)-음성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시판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입랜스는 세포 분열과 성장을 조절하는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CDK) 4/6을 선별적으로 억제해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새로운 기전의 경구용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이다.

이번 승인으로 입랜스는 폐경 후 여성의 일차 내분비 요법으로서 레트로졸(letrozole)과 병용 또는 내분비요법 후 질환이 진행된 여성에서 풀베스트란트(fulvestrant)와 병용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용법용량은 28일을 전체 주기로 하여 1일 1회 125mg을 21일 연속으로 경구 투여하고 7일간 휴약한다.

전이성 유방암은 암세포가 몸의 다른 장기로 전이돼 완치가 어려운 4기 유방암을 일컫는다. 조기 진단 유방암 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은 90% 이상인데 반해 전이성 유방암 환자 생존율은 22%에 불과해, 암의 진행을 최대한 지연시키고 환자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치료 목표로 하고 있다.

입랜스는 폐경 후 ER+/HER2- 전이성 유방암 환자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에서 레트로졸과의 병용 요법을 통해 무진행 생존기간(PFS, Progression Free Survival) 중앙값을 20.2개월로 레트로졸 단독 요법 시의 10.2개월보다 2배 가량 연장시켰으며(p=0.0004), 치료 초기 질병 측정이 가능한 환자 대상으로 종양 축소 등 치료에 따른 질병 반응을 측정하는 객관적 반응율(ORR, Overall Response Rate)에서 입랜스와 레트로졸 병용군은 ORR 55%를 기록해 레트로졸 단독 투여군 ORR 39%보다 높게 나타났다(p=0.047).

또 내분비 요법 시술 중 혹은 시술 이후 유방암이 진행된 HR+/HER2- 폐경기 이전/주변 혹은 폐경기 이후 전이성 유방암 환자 대상으로, 입랜스와 풀베스트란트 또는 위약과 풀베스트란트를 병용 투여하여 비교한 임상 결과에서 입랜스 병용군의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9.5개월을 기록했으며, 위약 병용군은 4.6개월로 나타나 HR+/HER2-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무진행 생존기간을 유의미하게 개선시켰다(p<0.0001).

한국화이자제약 항암제 사업부 송찬우 전무는 “입랜스를 통해 지난 십 수년간 치료 옵션의 진전이 없던 HR+/HER2- 전이성 유방암 1차 치료에서 혁신적인 치료 효과 개선을 기대한다”며 “계속해서 항암제 분야에서 차별화된 치료 옵션을 통해 환자의 삶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뿐 아니라 치료 접근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도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입랜스는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로부터 획기적 치료제 지정, 우선심사 및 신속승인으로 제품 허가 받았으며, 입랜스와 레트로졸 병용요법은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유방암 치료 가이드라인에서 치료받지 않은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 대한 1차 치료제로 권고받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7263964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