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건강은 더 이상 지구의 건강과 분리될 수 없다”
스위스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국제보건센터장 일로나 킥부시(Ilona Kickbusch) 교수는 지난 8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강당에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이종구 센터장)가 초청해 진행된 제24차 아카데미아에서 이같이 밝혔다.
‘2016년 국제보건 거버넌스의 도전과제’를 주제로 열린 이번 강연에서 킥부시 교수는 “국제보건과 그 궁극적 목표에 관해 완전히 다른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건강 불평등과 보건안보 문제가 혼재된 새로운 상황과 보건의 정치적 및 상업적 결정요인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킥부시 교수는 에볼라와 대규모 난민발생 등 2015년의 보건위기 및 인도주의 재난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은 UN과 WHO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국제보건 체계의 한계를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반면 2015년은 지속가능한개발목표(SDGs)로 대표되는 전 지구적인 의제 채택과 새로운 국제기구들의 출현으로 국제보건이 국가 지도자들의 정치적 의제로 부상하게 된 중요한 해이기도 했다. 이에 따라 킥부시 교수는 2016년이 국제보건에 있어서 전환점의 해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킥부시 교수는 무엇보다 강대국의 권력이동과 중소국가들의 부상이 국제보건의 미래를 규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현재의 복잡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한국과 같은 ‘미들 파워(middle power)’들이 국제보건 분야에서 더 적극적이고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들 파워란 전 세계적인 전망을 갖고 적극적인 외교를 펼칠 능력과 의지를 가진 중간 규모의 국가를 말한다.
1981년 독일 콘스탄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킥부시 교수는 1990년대 후반까지 10여 년간 WHO 유럽지역본부와 제네바 본부에서 건강증진 및 생활보건 관련 주요 직책을 맡았다.
이후 보건문제를 정치학적 시각으로 접근해온 그의 독보적인 이력을 바탕으로 WHO와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독일, 스위스, 일본 등 여러 국가의 보건정책 자문으로 폭넓게 활동하며 국제보건 정책 방향을 제시해왔다. 지난 6월에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직속 국제보건위기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된 바 있다.
한편 아카데미아(Academia for Global Medicine)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주최하고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가 주관하는 강연시리즈다.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는 국제보건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특히 국제보건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2013년부터 국제보건 분야의 세계적인 학자들을 초청해 매월 강연을 개최하고 있다.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는 故이종욱 전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의 뜻을 따라 국제의료문제에 대한 교육, 연구, 정책자문, 국제공헌 실천을 목적으로 2012년 설립되었다.
의대 학생들이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질과 안목을 키울 수 있도록 국제의학교육과 연구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중저소득국의 의료 인력과 보건부관료를 대상으로 의료역량 강화 교육 및 보건의료 정책 연수를 운영하고 있다.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는 서울대학교의 우수한 인력 자원을 바탕으로 한국의 보건의료 분야 국제개발 원조효과성을 실현하고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하는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일로나 킥부시 교수 약력]
일로나 킥부시는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교수이자 동 대학원 산하 국제보건센터를 총괄하고 있다. 최근 WHO의 에볼라 대응 평가 독립전문가패널로 활동했다. 국제보건 및 국제보건외교 정책 혁신에 중요한 기여를 한 점을 인정받아 독일 정부로부터 공로훈장을 받은 바 있다.
WHO 유럽 및 동지중해 지역본부 사무처장의 선임자문위원이며, 여러 국가의 국제보건전략에 자문을 해왔다.
보건 분야 교육 연구소인 캐럼재단(Careum Foundation)의 집행위원이며, 스위스 연방의회의 보건 분야 전문가 자문 패널로도 활동하고 있다. 일로나 킥부시는 다양한 방면에서 보건의 혁신을 이루는 데 평생을 기여해왔으며, 또한 여성의 권리 증진을 위해 헌신해왔다.
[주요 약력]
2016-현재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국제보건센터 센터장, 유엔 사무총장 직속 국제보건위기 특별위원회 위원
2010-현재 WHO 본부/지역본부 자문
2008-2016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국제보건프로그램 총괄
2004-현재 킥부시헬스컨설트 대표
2004-2010 스위스 연방보건국 선임 보건정책 자문관
1998-2004 예일대학교 의학대학원 역학보건학교실 국제보건학 교수, 범미보건기구(PAHO) MDGs 선임자문관
1985-1998 WHO 건강증진 지역사무관, WHO 유럽지역본부 생활보건국장, WHO 본부 건강증진/교육/커뮤니케이션국장
1981 독일 콘스탄츠대학교 정치학 박사
[저서]
<Global Health Diplomacy>(2013) 공저
<Negotiating and Navigating Global Health: Case Studies in Global Health Diplomacy>(2011) 공저
<Implementing Health in All Policies>(2010) 공저
<Policy Innovation for Health>(2009)
<On Health and Modernity: Theoretical foundations of health promotion>(2007) 공저
<Globalization, Women, and Health in the 21st Century>(2005)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