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연명의료 법안 처리 제동…의협 VS 한의협 - “조속히 처리 희망, 법사위 제동 강한 유감” VS "한의계가 발목 잡은 것 아…
  • 기사등록 2016-01-04 16:31:13
  • 수정 2016-01-04 16:32:01
기사수정

‘연명의료법안’이 한의사 참여 논란으로 국회 통과에 제동이 걸린 것과 관련하여 대한의사협회와 대한한의사협회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는 한의계 참여 요구로 법사위에서 제동이 걸린 부분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면서 임종을 앞둔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과 환자 가족들을 위해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연명의료법안(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안)은 임종 단계의 환자에게 연명의료 행위를 중단해도 의사나 가족이 처벌받지 않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국민의 70~80%, 노인의 90% 이상이 지지하는 법안이다.

그러나 이 법안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통과 후 지난 12월 30일 법사위 심의 과정에서 한의사 참여를 명시해야 한다는 일부 위원들의 주장으로 인해 보류됐다.

이에 대해 의협은 “이 법안에서 명시하고 있는 연명의료행위는 고도의 의학적 지식과 기술, 전문적 판단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의료법상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이다”며 “한의학적 사항이 포함될 개연성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한의사 참여를 요구하는 것은 타당성이 없으며 국민건강과 생명을 도외시한 몰상식한 발상이다”고 주장했다.

이 법안은 임종과정의 환자에게 중단할 수 있는 연명의료를 ▲심폐소생술 ▲혈액투석 ▲항암제 투여 ▲인공호흡기 등 한의사가 할 수 없는 의학적 시술로 한정하고 있다.

의협은 “연명의료계획서 작성 대상이 되는 임종과정 및 말기환자 판정은 의학적 진단 결과를 토대로 하는 것으로 한의사의 영역이 아니다”며 “조직검사, CT, MRI, PET 등 영상검사, 혈액검사 등을 근거로 한 암 병기(1~4기) 판정 및 예상 기대수명 추정 등이 필요하므로 한의사는 이를 판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연명의료계획서는 중단하려는 연명의료의 종류를 결정하는 서류로, 심폐소생술 및 인공호흡기 부착 등을 직접 시행·중단할 수 있는 ‘의사’가 설명하고 작성해야 한다.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위한 소견서 역시 조직검사, 영상검사 등 의학적 진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행 암관리법에 규정된대로 말기암환자에 대해 의사만 소견서를 작성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이 법안에 대해 지난 18년 동안 단 한 번도 의견을 내지 않던 한의계가 법안 통과를 목전에 두고 브레이크를 건 것에 대해 의료계 뿐만 아니라 정부와 사회 각계도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것.

의협은 “의료계에서는 오랜 시간동안 수많은 공청회와 토론회 등 숙고의 과정을 거쳤고, 누구보다도 임종환자와 가족들이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법안이다”며 “국회 마지막 관문을 앞두고 재를 뿌리듯 한의사의 연명의료 참여를 주장하고 나선 것은 국회의원을 앞세워 자신들의 밥그릇을 챙기려는 의도로밖에 해석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또 “한의계의 연명의료 참여 주장은 현대 의료기기 사용을 위한 물밑작업으로도 읽힌다”며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면서까지 자신들의 이익을 챙기려는 한의계의 시도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고, 의료 근간을 흔들고 있음을 정부와 국회는 분명히 인식해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의협 신현영 대변인은 “지금 이 시간에도 임종과정의 환자와 그 가족들은 동 법안의 통과를 기다리며 하루하루를 ‘연명’하고 있다”며 “존엄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한 연명의료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희망하며, 동 법안이 잘못된 방향으로 악용되지 않고 본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해 시행될 수 있도록 의료계가 최대한 협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반면 한의협은 “현재 일부 언론에서 마치 한의계가 발목을 잡아 이 법안이 통과되지 않고 있다는 듯 보도하는 것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며 “한의협은 웰다잉법의 취지에 적극 공감하며 웰다잉법의 법률적 체계가 개선되어 하루속히 시행되기 바라고 있음을 다시 한 번 분명히 밝힌다”고 반박했다.

이와 함께 현재 보건복지부나 일부 언론에서 한의협과 18년간 아무런 의견개진이 없다가 이제 와서 발목을 잡는다는 식의 발언과 보도가 이루어지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주장이다.

한의협은 “한의계는 최근 해당 법률에 대해 어떠한 의견개진의 기회조차 없었으며 지난 12월 9일 열린 제 12차 보건복지위원회의에서 보건복지부 담당 주무과장이 한의계와 직접적인 논의를 한 사실이 없음을 스스로 시인한바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의협 관련입장은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newsid=1451820176)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5189262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