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주)의 ‘차세대 당뇨병 치료제 HM11260C 글로벌 임상 및 제품화 연구’ 과제가 사노피社로 기술이전 되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12년 7월부터 약 3년간 3개부처(복지부, 미래부, 산업부)가 공동으로 투자한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하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임상 2상 연구를 수행했다.
이번 기술이전에 따라 한미약품은 사노피로부터 초기 계약금 약 5000억 원과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 마일스톤(milestone: 임상개발단계별 성공 시 받게되는 정액 기술료)으로 약 4조 5000억 원을 받게 되어, 국내 최대 규모의 기술이전 성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업단은 출범 이후 총 14건의 기술이전(해외 기술이전 5건)을 달성하였으며, 이에 따른 정액 기술료 합계만 약 5조원 규모다.
그동안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을 위해 신약연구개발사업을 적극 지원해왔다.
이를 통해 개발된 신약 및 신약후보물질로써의 해외 기술수출 사례는 사업단 성과를 포함하여 총 22건(’13.1월~ ’15.11월 기준), 이에 따른 기술료 수입은 계약금과 마일스톤을 포함해 최대 6조 5천억원 규모(계약당시 환율 적용)에 이르는 등 연구개발 투자에 따른 기술이전 성과와 신약개발 성공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제약산업은 기술우위에 따른 독점력이 강하고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사업이지만 신약개발에 평균 15년의 긴 개발기간이 소요되고 실패율이 높아,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복지부 지원사업의 기술이전 성과는 매우 우수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기술이전계약 등 기술사업화 성과가 확대되면 연구개발 경험 축적과 이에 따른 국내신약개발 역량 강화로 이어질 뿐 아니라 기술료 수입을 통한 신약개발 재투자로의 지속적 선순환구조가 형성되어 연구개발 성과가 급속히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신약개발 R&D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 기존 신약개발 사업의 영세성, 연구단계별 연계부족 및 기술개발 병목 발생의 문제 해결이 중요하며, 범부처신약개발사업과 같이 관계부처 간 장벽을 해소하고 정보교류 및 성과 연계를 확대하여, 신약개발 R&D 투자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