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시도의사회, 각과 개원의협의회에 비급여 자료를 취합해 달라는 문서로 파장이 확대되고 있다.
문제는 이 문서가 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에 넘길 자료였다는 점이다.
A 시도의사회 회장은 “이번 조치는 의협이 나서서 의사들의 비급여 정보를 보사연에 넘기겠다는 것이다”며 “회사로 치면 영업기밀과도 같은 것을 함부로 공개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B 시도의사회 회장는 “이를 보사연에 제공하면 마치 접종비가 인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부터 잘못되어 있다”며 “의협의 행동에 답답하고 허탈한 마음 뿐이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이사회 회의에서도 의협의 요청을 두고 논란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의협이 직접 문서를 보낸 건 도무지 납득할 수 없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정부가 수가협상에서도 수가 인상을 조건으로 ‘비급여 내역 공개’를 부대조건으로 내세울 정도로 해당 자료 확보에 공을 들이는 상황에서 의협이 나서 비급여 자료까지 모아서 제출할 필요는 없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3~4 곳의 시도의사회는 의협에 항의 의사를 전달한 것은 물론 상임이사회를 통해 자료 제출 거부를 의결한 시도의사회도 있다.
의협은 120곳에 자료를 요청해 총 56개 기관에서 자료를 취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의협 주무이사가 단독으로 처리했다는 점이다.
의협 상임이사회에 보고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됐다는 점은 더 큰 문제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C개원의협의회 회장은 “이렇게 중요한 문건을 상임이사회에 보고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됐다는 점은 이해하기 힘들다”며 “의협이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 기억해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