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노피 투제오 투약 1년…기존 기저인슐린 대비 더 지속적 당화혈색소 수치 감소 효과 - 란투스 대비 저혈당 발생 빈도 등 치료 전반에 걸쳐 보다 긍정적 경험
  • 기사등록 2015-10-12 17:48:43
  • 수정 2015-10-12 17:51:42
기사수정

주식회사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 이하 사노피)가 자사의 차세대 장기 지속형 기저인슐린 투제오®주솔로스타® (성분명: 인슐린 글라진 유전자 재조합 300U/mL, 이하 투제오)의 3상 임상인 에디션(EDITION) 1, 2, 3의 투약 1년 시점을 비교 분석한 대규모 메타 분석 결과를 스웨덴 스톡홀름 에서 열린 제 51회 유럽당뇨병학회(EASD)에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에디션 1, 2, 3의 투약 1년 시점 메타 분석 결과, 투제오®가 란투스® 대비 더 지속적인 당화혈색소 수치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투제오®는 란투스® 대비 체중 증가율이 더 낮고, 낮과 밤 모든 시간대에 확인된 저혈당 발생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노피투제오.jpg

사노피 당뇨사업부를 총괄하는 이윤경 상무는 “이번 결과에서 투제오®를 통해 환자들에게 치료 전반에 걸쳐 보다 긍정적인 치료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며, “국내 당뇨병 환자들에게도 희소식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리카르도 퍼페티(Riccardo Perfetti) 사노피 글로벌 당뇨사업부 부회장은 “이번 분석 결과는 투제오®의 우수한 혈당 조절 효과를 입증한 기존 에디션 임상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투제오®가 란투스® 대비 저혈당 위험을 낮추는 동시에 보다 지속적으로 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며, “투제오®가 전 세계적으로 출시 또는 출시 준비 중인 시점에서 이러한 긍정적인 분석 결과를 얻게 돼 매우 고무적이다”고 밝혔다.

또 이번 메타 분석을 이끈 독일 뮌헨의 로버트 리첼(Robert Ritzel) 교수는 “혈당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 순응도 개선과 치료 예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투제오®가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혈당을 조절하고, 저혈당 위험에 대한 부담을 줄임으로써 임상적으로 충분한 용량의 인슐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혜택이 란투스® 대비 투약 1년 후 당화혈색소(HbA1c) 감소, 낮과 밤 모든 시간대에 확인된 저혈당 위험 감소, 적은 체중 증가 등과 같은 장기적인 치료 결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한편, 투제오®는 지난 8월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성인에서의 당뇨병 치료에 품목 허가받았다.

이 외에도 투제오®는 미국, 유럽 및 일본에서 허가받았으며, 현재 세계 다수의 보건 당국을 대상으로 투제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진행 중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4463950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