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도인지장애, 최근 5년 진료환자수 4.3배 증가 - 치매예방수칙 3·3·3 및 예방운동 실천필요
  • 기사등록 2015-09-14 01:27:26
  • 수정 2015-09-14 01:28:28
기사수정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2014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경도인지장애(F06.7)’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0년 2만 4,000명에서 2014년 10만 5,000명으로 약 4.3배 증가했다.

총진료비는 2010년 66억 원에서 2014년 351억 원으로 연평균 52.0% 증가했다.

지난 2010년부터 전국 시군구 보건소 중심으로 치매선별검사 등 조기검진사업이 집중적으로 수행되었고, 치매의 예방과 조기발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면서 치매로 가기 전 단계라 할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수가 최근 5년 평균 43.9% 증가했다.

경도인지장애 진료를 받은 실제 환자수는 여성이 71,880명, 남성이 33,718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2배 많았다.(2014년 기준)

이같은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성별 특성은 치매 질환에서도 나타나며, 2014년 여성 치매환자 수는 316,903명인데 비해 남성 치매환자수는 125,952명으로 여성의 40% 수준이었다.

연령별 적용인구를 적용하여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고령일수록 진료환자 수가 급증하는 전형적인 노인성 질환의 특성을 보였다.

특히 80대 이상 노인 100명 중 1.8명이 경도인지장애 진료를 받았다.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성별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연령대에서 빠르게 진입되었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70대에서 80대 이상 고령층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경도인지장애 환자 분포가 급증했다.

여성의 경우 70대와 80대 이상 연령대 경도인지장애 진료 환자 모두 노인 100명 중 1.7명으로, 70대 이상 연령층에서 다수의 경도인지장애 진료 수진자가 매년 40%씩 빠르게 증가했다.(2014년 기준)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성별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연령대에서 빠르게 진입되었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70대에서 80대 이상 고령층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경도인지장애 환자 분포가 급증했다.

(표)인구 10만명 당 ‘경도인지장애’ 진료 현황
 (단위 : 명, %)
3-1.jpg

반면 남성 경도인지장애 진료 환자 수는 여성 환자와 달리 70대는 100명 중 1.2명에서 80대 이상은 100명 중 1.9명으로 연령층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치매환자 대비 경도인지장애 환자 규모는 2010년 9.2%에서 2014년 23.8%로, 빠른 시일 내에 경도인지장애 환자 비중이 전체 치매환자 규모의 1/4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표)‘치매’ 와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 규모 비교
(단위 : 명)
3-2.jpg

주) 치매환자 현황은 공단 내부 분석 자료이며,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모든 수진현황을 포함함.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수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 이하에서는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수가 치매 진료환자수보다 더 많았다.(2014년 기준)

이러한 경도인지장애의 의료 이용의 특성 상 치매 보다 비교적 더 낮은 연령층에서부터 조기 관리가 필요하다.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의 진료이용 행태를 살펴보면, 입원진료 보다는 외래와 약국 이용이 비교적 높았다.

입원환자의 경우 2014년 2,144명으로 전체 경도인지장애 환자(105,598명)의 2% 수준에 불과했다.

(표)진료형태별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 현황
(단위 : 명, 백만원)
3-3.jpg


한편 경도인지장애, 여성환자가 많은 이유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newsid=1442161205)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4216149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비보존제약,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화이자제약,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14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가톨릭대, 서울대, 중앙대광명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