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난치성 ‘테니스엘보우’줄기세포치료 효과 최초 입증 -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팀
  • 기사등록 2015-09-08 19:35:00
기사수정

‘테니스엘보우’로 알려진 ‘팔꿈치 힘줄 손상’에 타인의 지방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동종 지방유래 줄기세포)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팀은 이 같은 결과를 국제 저명 학술지인 줄기세포(STEM CELLS)지 최신호에 발표했다.

현재까지 말 등 동물의 힘줄 손상에 대한 줄기세포치료는 발표된 바 있지만, 사람의 힘줄 손상에 대한 결과는 이번이 처음이다.

교수팀은 난치성 테니스엘보우 환자 12명에게 다른 사람의 지방에서 체취한 줄기세포(10? or 10? cells in 1 ml)를 손상된 힘줄에 주입했다. 그 후 1년간 경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통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통증척도(VAS:Visual Analog Scale: 0~100mm)가 줄기세포치료 직전에는 66.8mm였으나, 치료 후 52주차에는 14.8mm로 낮아졌다.

팔꿈치 운동 기능을 나타내는 팔꿈치 기능평가 수치(elbow performance scores: 40~100점)도 줄기세포치료 직전에는 64점이였으나 치료 후 52주차에는 90.6점으로 향상됐다.

줄기세포치료 전 초음파 영상에서 확인된 힘줄의 손상 면적도 세로방향에서는 6.46mm², 가로방향에서는 8.14mm²였으나, 치료 후 52주차에는 각각 3.06mm², 4.31mm²로 줄었다. 관찰 기간 동안 유의미한 부작용은 없었다.

손상된 힘줄의 회복 기전은 크게 3가지다. 주사된 줄기세포가 힘줄세포로 분화되어 손상을 치유할 수도 있고, 줄기세포가 사이토카인(세포호르몬)을 분비하여 손상부 주위에 있는 힘줄세포의 치유능력을 향상시켰을 수도 있다.

그 외, 줄기세포자체가 염증반응을 줄이는 기능이 있어 통증 감소에 기여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정선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동종(타인의)줄기세포는 힘줄 손상의 치료에 안전하고 효과 있는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보였다”며 “대조군이 없는 1상 임상시험이다. 치료효과에 대한 확실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대조군이 있는 2, 3상 임상시험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8-11.jpg

또 “현재 우리 연구팀은 두 개의 2상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더 높은 치료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결과가 곧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고 덧붙였다.

테니스엘보우는 팔꿈치 과사용 증후군 중 하나다. 팔꿈치 관절과 팔에 무리한 힘이 주어져 팔꿈치 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테니스를 많이 치는 사람에게 주로 나타난다 하여 테니스엘보라 명명됐으며, 손목과 팔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에게 나타난다. 집안일이 많은 주부, 컴퓨터를 많이 쓰는 사무직등에도 많이 생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4169772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