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린이 안전사고 3년 연속 증가 - 1세~3세 걸음마기 연령대 최다 발생, 주의 필요
  • 기사등록 2015-07-07 15:41:44
  • 수정 2015-07-07 15:43:11
기사수정

어린이 안전사고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는 위험한 상황에 대한 인식과 대처 능력 부족으로 안전사고를 당하기 쉬우므로 보호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이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소비자기본법에 의거해 전국의 66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ㆍ평가하는 시스템)을 통해 수집한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를 집계한 결과, 사고 건수가 3년 연속 증가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3년간 접수된 어린이 안전사고 74,600건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세~3세(걸음마기)가 절반(37,273건)을 차지하여 다른 연령에 비해 사고 발생 비율이 높았다.

이어 4세~6세(유아기)가 21.5%(16,069건), 7세~14세(취학기)가 20.0%(14,891건), 1세 미만(영아기)이 8.5%(6,367건)로 나타났다.
 
7-17.jpg

◆안전사고 10명 중 7명‘가정’서 발생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은 ‘가정’으로 전체 사고의 67.5%(50,364건)를 차지하였고, ‘여가 및 문화놀이시설’ 8.1%(6,006건), ‘교육시설’ 7.6%(5,692건) 등이었다.

연령별 주요 사고 유형을 살펴보면, 1세 미만은 보호자의 부주의 등으로 침대·소파 등에서 추락하는 사고, 1세~3세는 거실·방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가 많았다.

4세~6세 역시 침대·소파 등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많았는데, 1세 미만의 추락사고와 달리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해지면서 침대, 소파 등에서 뛰거나 놀다 추락해 다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취학기인 7세~14세 연령에서는 자전거, 스케이트 등의 스포츠 활동 중 부딪히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많았다.

◆중독, 화상, 삼킴 사고 절반이상 1세~3세 발생
특히 어린이가 심각한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중독, 화상, 삼킴 사고 등은 1세~3세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독사고 중 59.9%(601건), 화상 사고의 54.9%(1,253건), 삼킴 사고의 51.7%(3,730건)가 걸음마기에 발생했다.

최근 3년간 14세 이하의 ‘삼킴사고’는 7,219건이 접수되었으며, 완구의 부속품 등을 삼킨 사례가 11.6%(836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구슬 8.0%(574건), 동전 4.8%(346건) 등이 뒤를 이었다.

‘골절사고’는 3,539건으로 놀이터 및 놀이시설에서의 골절사고 비율이 37.3%(1,320건)로 가장 높았다. 특히 골절사고는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7세~14세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사고’는 2,284건이 접수되었는데, 전기(압력)밥솥 증기에 의한 화상사고가 15.9%(36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정수기 12.3%(282건), 불판 5.6%(127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마지막으로 ‘중독사고’는 1,004건으로 의약품 25.7%(258건), 살충제 6.7%(68건), 표백제 6.4%(64건) 등 가정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의약품 및 화학제품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안전사고는 안전의식 제고를 통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사고를 줄이기 위한 보호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어린이 스스로 위험한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안전에 대한 인식과 습관을 심어주는 지속적인 안전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3년간 어린이 안전사고 현황, 연령별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 주요 유형별 안전사고 동향,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자 주의사항 등은 (http://www.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2248&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3625124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