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표 보건복지부장관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초기 대응실패에 대한 자진사퇴 의향에 대해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23일 국회 본회의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여야 의원들은 메르스 사태와 관련하여 보건복지부의 초동 대응 부실에 대한 추궁과 질타를 했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노웅래 의원 등은 문형표 장관에 자진 사퇴 의향을 묻는 등 강도 높은 질타를 했다.
실제 안철수 의원은 “지난 34일 동안 국가가 있었느냐. 사태를 장악하고 빠르게 대처해야 할 컨트롤타워는 왜 없었고, 왜 정보공개를 거부했느냐”며 “인공호흡기 이후 에크모 시술이 필요한데 사망자 25명 중 3명만 시술을 받았다”고 정부의 대응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문 장관은 “응급실 환경, 병원 쇼핑, 병문안 문화 등 국내 특수한 환경들을 우려해 조치를 취했어야했던 것 같다”며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없다. 메르스 사태 해결에 최선을 다해 종식하는데 힘을 쏟겠다”고 답했다.
질병관리본부의 체계 개선에 대한 방향도 제시됐다.
새누리당 이채익 의원이 질병관리본부의 체계 개선과 역학조사 중심의 새로운 조직 개편 등의 주문에 문 장관은 “비상시 질병관리본부의 대응체계 개편 방안을 고려 중이다”며 “신종감염병이 들어올 경우 군사조직처럼 대응하는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메르스 사태의 상황에 대해 문 장관은 “현재 최대한 철저하게 방역망을 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평택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등의 폭발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진정국면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