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소상공인연대, 한의사 의료기기 허용 1천만명 서명운동 등 추진 - 한의협 “국민의 의료선택권 확대 및 중소상공인 활로개척 위해”
  • 기사등록 2015-05-18 12:30:27
  • 수정 2015-05-18 12:31:50
기사수정

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 골목상권살리기소비자연맹, 유권자시민행동, 한국시민사회연합 등(이하 중소상공인연대) 한의사 의료기기 허용을 위해 1천만명 서명운동 등을 추진한다.

대한한의사협회는 18일 프레스센터에서 중소상공인연대와 공동으로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 허용을 위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한의협에 따르면 이번 기자회견은 의료 소비자인 국민의 의료선택권을 확대하고, 의료기기 산업 활성화를 통한 중소상공인 활로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이 전면 허용되어야 한다는데 양측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마련됐다.

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 오호석 총회장은 “의료소비자인 국민의 진료 선택권이 무시당하고,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이 좌초되는 위기를 더 이상 좌시할 수 없어 이렇게 기자회견에 나서게 됐다”며 “의사협회에서 한의사 의료기 사용을 두둔하는 국회의원은 낙선운동을 벌이겠다고 하고, 한의사가 의료기 하나라도 사용하도록 결정이 난다면 총파업을 하겠다는 국민 협박성 내용, 한의사에게 의료기기를 판매하면 불매운동을 벌이겠다는 협박도 했다. 이는 의사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폭력성 행태다”고 주장했다.
 
오회장.jpg

또 “의사단체가 의료기기 회사의 경영에 압력을 가하고,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정부를 위협하고, 유권자를 무시한 채 국회를 협박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법과 제도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행위다”며 “특히 의료 소비자인 국민의 선택권을 의료서비스 공급자 중 하나인 의사 단체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자기밥그릇이라 생각하고, 전방위적으로 방해하고 박탈하며 정부와 국회를 협박하는 것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엘리트 집단이 해서는 안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피켓.jpg

이와 함께 오는 6월 13일부터 1천만 직능인과 720만 중소자영업자가 연대하여 한의사의 의료기 사용이 승인될 때까지 천만인 서명운동을 포함한 규탄대회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는 계획도 제시했다.

한의협 김필건 회장은 “자격 있는 의료인인 한의사가 보다 더 정확한 진단과 안전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의료기기를 자유롭게 사용해야 한다”며 “의료기기 사용을 통해 침체에 빠진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원동력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회장.jpg

또 “이는 단순히 특정 직역간 밥그릇 싸움이 아니라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 달린 일이다. 복지부는 더 이상 의사들의 갑질에 휘둘리지 말고 무엇이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 길인지 심사숙고해 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는 지난 2005년 특별법인으로 출범했으며, 국가로부터 승인된 단체 등 260여 개 단체로 구성돼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3191952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