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세계 최초 사상판 깊이가 녹내장 환자 예후에 미치는 연관성 제시 - 분당서울대병원 김태우·이은지 교수팀…사상판 깊을수록 녹내장 진행속도…
  • 기사등록 2015-05-04 11:46:16
  • 수정 2015-05-04 11:48:15
기사수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안과 김태우, 이은지 교수팀이 시신경 섬유가 지나는 조직인 사상판이 깊을수록 녹내장이 빨리 진행했음을 밝혀내 눈길을 모으고 있다. 

녹내장은 현재 60세 이상 인구의 약5%에서 발병하는 시신경병증으로 시신경 손상의 진행이 멈추지 않으면 결국 실명을 초래하는 3대 실명 질환중 하나다.

교수팀은 사상판의 깊이와 두께가 녹내장의 진행 경과와 속도에 미치는 연관성을 연구했다. 빛간섭 단층촬영장비를 이용해 사상판의 변형을 3차원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을 고안해 녹내장 환자들에서 일어나는 사상판의 다양한 변형양상을 관찰했고, 그 결과 사상판이 깊을수록 녹내장이 빠르게 진행하는 것을 밝혀냈다.
 
4-3.jpg

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사상판의 깊이가 녹내장 환자들의 예후에 미치는 연관성에 대한 세계 최초의 보고로 녹내장의 향후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태우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녹내장 환자의 60~70% 이상이 안압이 높지 않은 정상 안압 녹내장이다”며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에 많은 정상안압 녹내장환자에서 사상판의 깊이에 따라 향후 녹내장이 빨리 진행할 수 있는 환자를 선별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은지 교수는 “녹내장은 특별한 예방보다는 조기 발견이 중요하기 때문에 위험성을 발견하고 진행 속도를 예측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아야한다”며 “안압검사 뿐만 아니라 안저촬영, 시신경단층분석 등을 통해 사상판과 시신경의 손상유무를 확인해야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안과 분야 최고 학술지인 Ophthalm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녹내장에서 발생하는 시신경의 손상은 사상판에서 발생하는데, 사상판은 시신경 섬유가 지나가는 부분에 구멍이 얼기설기 뚫려있는 형태의 조직으로 그 구멍 사이로 시신경 섬유가 빠져나간다.
4-2.jpg

눈 안의 압력이 높아지면 정상이었던 사상판이 뒤로 구부러지고 압착되면서 사상판 구멍들이 변형된다.

이로 인해 구멍 사이를 지나가는 시신경 섬유에 압박이 가해져 손상이 일어나고 녹내장이 발생한다.

하지만 안압이 높지 않더라도 녹내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알려지면서, 현재는 안압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녹내장을 진단하고 있다. 안압이 높은 경우를 고안압 녹내장, 안압이 정상인 경우는 정상안압 녹내장이라고 한다.
 
4-1.jpg

녹내장에서 시신경이 손상되는 속도는 향후 예후를 파악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데, 현재 녹내장에서 시신경이 빨리 손상될지 서서히 손상될지 알 수 있는 지표는 많지 않다.

이전에는 안압이 높은 경우, 수정체가 물고기 비늘처럼 벗겨지는 거짓비늘증후군에 동반된 녹내장, 시신경유두주위위축이 큰 경우, 시신경유두출혈이 있는 경우에 녹내장 진행이 빨리 일어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3070754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