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심혈관위험 없는 당뇨병 환자, 아스피린 복용 시 허혈성 뇌졸중 발생 위험 70%UP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심혈관질환 예방목적 아스피린 복용 시 가족력·아스…
  • 기사등록 2015-04-01 11:15:29
  • 수정 2015-04-01 11:16:28
기사수정

심혈관위험이 없는 당뇨병 환자가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허혈성 뇌졸중 발생 위험이 70%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임태환)이 2012년 연구로 수행한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계질환발생 예방을 위한 아스피린 사용양상 분석’ 결과가 국제학술지 ‘Diabetology and Metabolic Syndrome’ 2015년 2월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주제공모연구로 서울대 의과대학 박병주 교수팀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다.

이번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게 심혈관질환 예방목적으로 처방되던 아스피린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것으로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이 없는 당뇨병 환자가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할 경우 오히려 허혈성 뇌졸중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

미국 당뇨병학회(2009) 등 국내외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질환 일차예방 목적으로 아스피린 처방이 권고되고 있으나, 예방효과와 출혈위험에 대한 이득-위험 논란이 공존해왔다.

국제학술지 ‘Diabetology and Metabolic Syndrome’에 실린 이번 연구는 지난 2012년 연구의 ‘허혈성 뇌졸중’ 부분을 재분석한 것이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토대로 2006, 2007년 당뇨병 진단을 받은 40~99세 환자를 ‘저용량(75-162mg) 아스피린 복용군’과 ‘비(非) 복용군’으로 분류, 2009년까지 최대 4년을 추적 관찰하여 허혈성 뇌졸중 발생 빈도를 비교했다.

두 군을 비교한 결과, 복용군은 비복용군에 비해 허혈성 뇌졸중 발생 위험이 70%가량 높았다.

기존에 심혈관계질환 발생위험이 있던 당뇨병 환자군에서 아스피린 복용 초기,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고려했다.

1년 이상 장기추적 관찰된 당뇨병 환자를 분석한 결과, 아스피린 복용군은 비복용군에 비해 허혈성 뇌졸중 발생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군, 고혈압 또는 고지혈증 동반여부에 따른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소그룹분석 결과, 복용군은 비복용군에 비해 허혈성 뇌졸중 발생 위험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남성에서 위험수준이 더 높았다.

최근 미국·유럽·아시아 지역에서 저용량 아스피린이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질환 예방에는 효과가 없다는 연구가 잇따랐으며, 아스피린 복용 후 기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아스피린 저항성’이 당뇨병 환자에서 더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미국 당뇨병학회도 당뇨병 환자에게 심혈관계질환 일차예방 목적으로 아스피린 사용을 더 이상 권고하지 않고 있다.

고혈압·고지혈증이 있거나 가족 중 심혈관 질환을 앓은 적이 있는 당뇨병 환자(50세 이상 남성, 60세 이상 여성)에게만 저용량 아스피린 처방을 권장토록 지침을 개정했다.

학계에서도 적극적으로 저용량 아스피린 처방의 득실을 따지려는 추세다.

박병주 교수(서울대학교 의과대학)는 “당뇨병 환자가 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해 아스피린을 복용할 경우, 가족력 등 위험요인, 아스피린 저항성을 고려하여 의사의 종합적인 판단에 따를 것을 권한다”고 밝혔다.

임태환 원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외 당뇨병 진료지침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국민건강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의미있는 성과로 이러한 내용이 실제 진료현장에 널리 공유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2785447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1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박스터, 신풍제약, 셀트리온, 한국아스텔라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