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자가면역질환 쇼그렌증후군 염증 반응 매커니즘 규명 - 표적치료 약물 개발 청신호, 혈액 및 침샘 내 IL-33․ST2 역할 밝혀
  • 기사등록 2015-02-06 17:04:40
  • 수정 2015-02-06 17:05:16
기사수정

국내 연구진이 염증 물질인 IL-33(Interleukin 33, 인터루킨 33) 단백질과 ST2 수용체가 쇼그렌증후군의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연구는 쇼그렌증후군의 치료를 위한 약물 개발의 새로운 표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곽승기·정승민 교수팀은 쇼그렌증후군 환자 55명과 나이와 성별이 유사한 정상인 48명의 혈액과 진단적 목적으로 침샘 조직검사를 시행한 25명의 침샘조직을 조사한 결과,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혈액 및 침샘조직내 IL-33과 ST2의 농도가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쇼그렌증후군은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스며들어 만성 염증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침과 눈물이 마르는 구강건조증과 안구건조증이 특징이며, 면역세포가 관절, 피부, 소화기, 호흡기 등 전신을 침범하면서 근육통이나 만성 소화장애, 기관지염 등 다양한 신체 이상을 일으킨다.

또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의 결합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정확한 병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쇼그렌증후군의 병태 생리에 IL-33과 ST2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교수팀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염증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일종인 IL-33과 수용체 ST2의 상호작용이 다른 류마티스 질환의 병인에 관여하는 것에 착안하였다.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혈청 및 침샘 조직에서 IL-33과 ST2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IL-33과 ST2이 질병의 경과나 활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교수팀은 쇼그렌증후군 환자와 정상인의 혈액을 비교 분석한 결과,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혈액 내 IL-33과 ST2 농도가 정상인에 비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그림 1).
9-11.jpg

그림 1. 쇼그렌 증후군 환자와 정상인의 혈액내 IL-33과 ST2 의 농도
특히 ST2는 질환의 경과가 오래되고 쇼그렌증후군 활성도 지표(ESSDAI)에서 질환의 활성도가 높을수록 증가했다.(그림 2)
9-12.jpg

그림 2. 질환의 결과 및 활성도에 따른 혈액 내 ST2의 발현

또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침샘 내 IL-33과 ST2의 발현이 정상인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염증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 3)
9-10.jpg
그림 3. 침샘 조직에서 IL-33과 ST2의 발현

이는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침샘 조직 내 IL-33이 주로 분비샘의 내피세포 및 외피세포에 분포해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 쇼그렌 증후군의 병인 기전에서 주요 인자인 인터페론-γ(Interferon-γ)로 자극할 경우 상피세포에서 IL-33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곽승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쇼그렌증후군에서 IL-33과 ST2의 역할을 밝히고 기전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임상 적용 가능한 치료법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또 “쇼그렌증후군이 류마티스관절염 다음으로 흔한 질병이지만 구강, 안구건조증을 일반적인 증상으로 생각해 병을 키운다”며 “다른 이상 없이 3개월 이상 건조증이 계속되면 검사와 진단,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The Journal of Rheumatology’ 1월호에 게재되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2320976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