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법 따라 생존율도 달라져 - 강남세브란스병원 이기종 교수팀, 양측 내유동맥 사용…하나 사용 시보다 …
  • 기사등록 2015-02-03 11:08:03
  • 수정 2015-02-03 11:09:08
기사수정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의 경우 수술법에 따라 생존율도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너무 심하게 막혀 스텐트 시술이 어려운 경우 ‘새로운 우회 혈관 통로’를 만들어주는 수술법이다. 이때 사용되는 우회 혈관의 종류와 개수에 따라 장기생존율이 달라진다는 연구가 최근 발표됐다.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이기종 교수와 영국 옥스퍼드 대학 데이비드 타가트 (David Taggart) 교수는 공동으로 세계 각국의 830편의 논문을 검토하고 15,000여 건의 환자케이스를 대상으로 대규모 메타분석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할 때, 앞가슴 뼈 뒷면에 있는 두 가닥의 양측 내유동맥(속가슴 동맥, internal mammary artery)을 모두 사용했을 경우 환자의 10년 이상 장기 생존율이 한 가닥만 사용했을 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위험비 0.79, 95% 신뢰구간, 0.75-0.84)

관상동맥 우회술에 사용되는 ‘우회로용 혈관’은 우리 몸에서 상대적으로 조금 덜 중요한 몇몇 혈관들이 선택되는데, 주로 흉골의 안쪽에 위치하고 ‘속가슴 동맥’이라 불리는 ‘내유동맥(내흉동맥, internal mammary artery)’과 다리의 피부 밑 지방층에 있는 ‘복재정맥(saphenous vein)’, 팔의 ‘상완 동맥(radial artery)’ 등을 주로 사용한다.

특히 내유동맥은 장기 개통율의 우수성으로 인해 최근 의료진들에게 가장 많은 선택받는 혈관이다.

그러나, 내유동맥을 사용하는 관상동맥우회로 수술에서도 양측 내유동맥의 사용하는 경우는 수술 시간이 더 걸리고 고도의 술기를 요구하기에 미국이나 유럽 등의 심장 수술 선진국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강남세브란스병원을 비롯한 일부 병원에서만 관상동맥우회술 시 양측 내유동맥을 사용해 수술하고 있다.

이기종 교수팀은 1990년부터 2012년 3월까지 인터넷 기반 검색엔진을 이용해 세계 주요 학술검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된 관상동맥 우회술 관련 보고 논문 830편을 메타분석 방식으로 살폈으며, 일정 조건 이상이 되는 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해당 된 15,583명의 환자 케이스를 분석했다.

 
3-3.jpg

(그림) 양측내유동맥을 사용하여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한 모식도 (예시). 좌내유동맥 (LIMA)이 좌전하행지(LAD)로 문합되고 우내유동맥(RIMA)은이 우관상동맥(RCA)과 연결된다.

환자들을 하나의 내유동맥만 사용한 경우(SIMA : single internal mammary artery, 총 8,270명)와 양측 내유동맥을 모두 사용한 경우(BIMA :  bilateral internal mammary artery, 총 7,313명)로 분류한 후, 10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친 사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양측 내유동맥을 모두 사용했을 때 하나의 내유동맥을 사용했을 때보다 사망률이 크게 감소 (위험비 0.79, 95%신뢰구간, 0.75-0.84)한다는 메타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또 병원 사망률, 출혈에 의학 재수술, 흉골 감염, 재원기간 등의 항목을 비교했을 때, 양측 내유동맥 사용 경우는 대체적으로 하나의 내유동맥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사하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기종 교수는 “이번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15,000여명이 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10년 이상의 장기추적을 통한 자료를 취합하고 대규모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의학적 근거가 충분한 연구 결과를 도출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3-4.jpg

이 교수와 영국 옥스포드 대학 의료진이 공동으로 진행해 펴낸 연구 논문은 지난 2013년 미국 심장학회에서 시행한 발표를 거쳐 세계 심장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의학지인 ‘Circulation誌 (impact factor; 15.202)’에 게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2292924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