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 전체 R&D 예산이 5,117억원으로 2014년 예산(총 4,615억원) 대비 502억원이 늘어나 10.9% 증가됐다.
보건복지부는 27일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 (위원장 : 김선영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를 개최하여 ‘2015년도 보건복지부 R&D 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중 시행계획 대상사업(기관운영비, 국립병원 연구비 등 기타 R&D 예산 582억원 제외)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 등 총 30개 사업(신규 3개, 계속 27개), 4,535억원 규모로 신규과제 1,329억원, 계속과제 3,206억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 시행계획은 보건의료 R&D를 ‘국민(환자) 중심의 R&D로 전환’하여 책임성을 강화하고 ‘R&D 성과의 산업화 촉진’에 대한 범정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보건의료 R&D 전문기관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질병관리본부(국립보건연구원), 국립암센터와 공동으로 수립하였다.
2015년도 투자방향은 2013년에 수립한 ‘국민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추진계획’의 추진방향(HEALTH 전략)과 일관성을 유지하여 수립하였다.
우선 2015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R&D 사업은 일부 신규사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과제는 상반기(1~6월 공모)에 공모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세부사업별 공고시기에 ‘보건의료 R&D 포털’ 홈페이지(
www.htdream.kr)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번에 새로 구성된 제11기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는 보건의료기술진흥법에 따라 위원장을 포함하여 20인(민간위원 14인, 당연직 위원 6인) 이내로 구성되었으며, 향후 2년 동안 보건의료기술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개발 전략 및 우선순위 결정 등 보건복지부의 연구개발사업의 주요 사항에 대한 심의를 담당하게 된다.
제11기 위원회는 위원구성을 기존 의학‧약학 중심에서 기초과학 분야까지 확대하였으며, 보건의료 R&D 재정집행의 책임성 및 성과평가 강화를 위하여 재정 및 성과평가 전문가와 연구성과를 사업화와 연계할 수 있도록 산업계 분야 전문가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