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보건산업분야의 한중 FTA 효과를 제고하고, 국내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착수한다.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한중 FTA 체결에 대비, 중국 교역비중이 높은 의료기기·의약품·화장품 등 보건산업 유망품목의 종합적인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민·관 합동의 ‘한중 FTA 보건산업대책반’(이하 대책반)을 발족하고, 1일 첫 회의를 개최했다.
지난 11월 21일(금) ‘대외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한중 FTA 민관대책반’을 구성하고, 민관대책반 산하에 ‘한중 FTA 업종별 대책반’을 운영하기로 함에 따라, 보건산업분야를 총괄할 대책반이 구성되었다.
한중 FTA 업종별 대책반은 보건산업, 섬유·의류, 철강, 전자·전기, 석유화학,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생활용품, 농림·축산, 수산, 중소기업 등 11개 분야다.
대책반은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을 반장으로 하고, 산업부·식약처 등 관계부처, 유관기관, 의료기기·의약품·화장품 등 관련 단체, 업계 대표 및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대책반은 의료기기, 의약품, 화장품 등 품목별로 분과를 구성하고, 대책반은 매월, 각 분과는 격주로 개최된다.
대책반은 내년 상반기까지 종합대책 마련을 위해 보건산업분야 한중 FTA 영향분석을 실시하고, 제도·인프라 개선, 국내 유망품목 발굴 및 육성,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품목 발굴 및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각계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향후 한중 FTA 추진일정 및 대책반 운영방안을 공유하고,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의료기기·의약품·화장품 등 주요 품목군의 중국 진출 현황 및 향후 전망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