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갑상선암 수술 후 새 치료법 시도 - 방사성 요오드 치료+리튬 병합 치료
  • 기사등록 2014-11-28 09:21:38
  • 수정 2014-11-28 09:23:56
기사수정

갑상선암 환자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조철구)은 갑상선암 환자가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 리튬을 복용할 경우, 방사성 요오드가 갑상선암 세포에 오랫동안 남아있어 치료효과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국내 암 발생률 1위인 갑상선암의 경우, 암세포가 아주 작은 초기가 아니라면 수술 후 대부분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는다. 

수술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는 갑상선암 환자들 중 약 20~30%는 치료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이를 극복하기 위한 치료법이 요구되어 왔으며, 리튬을 이용한 방사성 요오드 치료 증진 연구가 해외에서 시도된 적은 있으나 뚜렷한 치료성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8-3.jpg
8-4.jpg

원자력병원 핵의학과 임상무·임일한 박사팀은 방사성 요오드와 리튬을 병합함으로 치료 효과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했다.

29명의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 5일부터 치료 후 1일까지 리튬을 복용시키고 치료 결과를 분석한  결과, 리튬을 투여 받은 환자 중 총 13명(44.8%)의 무진행 생존기간(PFS, Progression Free Survival)이 29개월로 나타나, 요오드 단독 투여 환자군에 비하여 생존율이 유의미한 수준해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초기 단계의 연구이지만, 방사성 요오드 치료에 반응이 없던 환자에서 리튬 투여의 효용을 입증한 최초의 연구로, 제84회 미국갑상선학회(ATA,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에서 언론 공식 발표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2014년 11월)되었으며, 미국 인터넷 매체인 ScienceDaily등에 소개되었다.

원자력병원은 현재 국내 최대 규모의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 병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갑상선암 환자 뿐 아니라 비전형적인 증상을 보이는 환자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있다.

임상무 박사는 “말기 갑상선암 환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  성과이나, 아직 제한된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이기 때문에 향후 추가 임상을 통하여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 갑상선암 발생률: 연간 갑상선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총 40,568명으로 전체 암 발생 중 18.6%를 차지하여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2011년 국가암등록통계).
**방사성 요오드 치료: 갑상선 암 수술 후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추가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조작된 요오드를 투여해 잔여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치료법이다. 고용량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필요한 경우, 2~3일 동안 특수시설을 갖춘 병실(동위원소 전용 치료병동)에 입원한다.
※ 리튬 : 우울증 치료 등에 주로 사용되어 온 리튬은 갑상선 호르몬 생산을 감소시켜 방사성 요오드 섭취를 오랫동안 유지하게 한다. 흡수된 리튬은 대부분 소변과 땀으로 배설된다.
※ 리튬 복합 치료군의 경우 일반적인 방사성 요오드 치료군 보다 진행된 단계의 환자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법이 사용되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1713400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