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아프리카 파견 국제협력 인력 에볼라위협에 무방비 노출 - 발표된 정부대책과 달리 방역복 등 의료장비 지원 전무…기니 보건부 보호…
  • 기사등록 2014-10-21 17:44:05
기사수정

최근 서아프리카 3개국,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기니를 공포로 몰아넣은 에볼라 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고, 박근혜 대통령도 에볼라바이러스 피해 지역에 우리 보건인력을 파견하기로 한 가운데, 정작 이들 3개국 인근 서아프리카 지역에 파견된 우리나라 직원들은 방역복 등 필요물품이 없어 감염병에 무방비로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서아프리카에 파견된 직원은 총 102명인데, 국제보건의료재단이 가나에 6명(가족포함)을 파견하였고, 한국국제협력단은 가나에 9명, 나이지리아에 3명, DR콩고에 6명, 세네갈에 36명, 카메룬에 42명 등 96명 파견하였다.

서아프리카지역에 파견된 직원들은 모자보건사업 등 보건의료지원활동을 수행하고 있는데, 업무 특성상 현지인과 접촉이 많아 감염의 우려가 매우 높은 상황에 있다.

◆발표된 정부대책과 달리 방역복 등 의료장비 지원 전무
이에 정부도 지난 8월 4일 ‘에볼라출혈열 예방대책’을 발표하면서, 현지에서 우리 국민이 에볼라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에 대비하여 우리 영사가 효과적으로 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 보호복 등 필요물품을 공관에 보내 대응 태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경북 군위군ㆍ의성군ㆍ청송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확인 결과, 에볼라 감염병이 발생 이후 우리 정부가 서아프리카에 파견된 직원에게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복 등 의료장비를 지원한 현황이 전무하였고, 해외공관이나 사무소에서 감염병 예방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의료장비 또한 없어, 아프리카에 파견된 우리 직원들이 감염병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파견 직원들에 대한 감염병 예방교육 실시 여부에 대해서도,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은 파견된 직원 중 신경외과 및 소아외과 전문의가 있기 때문에 의과대학 다니면서 사전에 기본적인 예방법을 습득한 바 있다고 답변하였다.

◆기니 보건부의 방역복 등 보호장구 요청, 외교부는 거절
에볼라 바이러스로 아프리카 15개국에서 7천만 명이 감염될 수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15개 국가 대부분에 우리 직원을 파견한 상태이다.

그런데 기니 보건부가 세네갈 한국대사관을 통해 방역복 등 3억원 상당의 보호장구를 요청하였지만, 코이카는 예산부족을 이유로 이를 거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14일 가나 보건부장관도 국제보건의료재단 가나사무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에볼라환자 격리시설 설치 지원을 요청하여, 국제보건의료재단이 현재 이를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원 의원은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에볼라 2차 감염이 에볼라 환자를 돌보던 간호사가 방역복을 벗는 과정에서 체액이 몸에 묻은 실수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서아프리카 지역 에볼라 사망자 중 환자를 돌보던 의료인이 200명을 넘어서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정부는 에볼라 발병국과 그 주변국에서 근무하는 우리나라 직원에 대한 감염병 예방대책을 조속히 마련․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1385585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jQuery) cript>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