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양승조 의원(천안 갑, 국회보건복지위원회)과 전정희 의원(전북 익산을, 국회산업통상자원위원회)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2일 사망한 에볼라 의심환자(가나에서 6개월 체류 후 귀국)에 대한 질병관리본부의 대응체계가 중대한 허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환자가 최초 신고를(발열, 두통, 구토 등) 접수한 시간은 18:17이었는데, 이 환자에 대해 에볼라가 의심되는 상황인지에 대한 판단여부, 어느 병원으로 이송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 여부가 늦어지면서 1시간 41분이 지난 뒤인 19:58에야 환자가 병원에 입원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에볼라 의심환자에 대한 대응에 문제가 있음이 드러났는데, 우선 신고 당일 부산시 소방안전본부 종합상황실과 질병관리본부간 통신을 보면 질병관리본부가 운영하는 에볼라 핫라인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소방안전본부는 18시 40분, 42분, 19시 12분 세 차례 질병관리본부에 전화했지만, 에볼라 핫라인과 연결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질병관리본부와 대학병원이 해당 환자가 에볼라 의심환자인지를 두고 서로 다른 판단을 하면서 환자가 병원 밖에 방치되는 상황을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해당 환자가 아프리카 어느 국가를 다녀왔는지 확인이 안 되는 상황에서도 에볼라 발생 3개국 입국자 리스트에 없다는 이유로 일반병원 이송을 권유하였지만, 이송예정이던 부산대병원은 환자에 대한 정확한 확인이 안 된 상태에서 에볼라 의심 환자라며 국가지정입원치료병원으로 이송하라고 부산소방본부에 회신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지정입원치료병원인 울산대학교병원은 부산소방본부가 해당 환자의 입원 간능 여부를 묻는 과정에서 자신들이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이 아니라며 환자를 다시 부산대병원으로 데려가라고 회신한 것으로 나타났다.(최초 문의 후 20분 경과 후 답변)
양승조의원은 “해당 환자가 열대열 말라리아 환자로 판정되기는 했지만, 초기 대응이 우왕좌왕하면서 환자가 신속하게 치료를 받지 못했고 결국 사망에 이르렀다”며 “특히 에볼라 대응을 위한 핫라인이 제때 가동되지 않았고, 국가지정병원이 자신들이 지정된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진료를 거부한 것은 에볼라 대응체계에 중대한 허점이 드러난 것이다”고 지적하였다.
또 “이번에 문제로 드러난 의심환자 의뢰체계를 재점검해서 질병관리본부와 지역소방본부, 국가지정병원이 보다 긴밀한 협력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