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남북하나재단, 탈북민 보건의료 선험사례에서 통일 후 해법 찾는다 - 통일보건의료학회와 착한 보건의료 공동학술회의 개최
  • 기사등록 2014-09-25 23:38:22
  • 수정 2014-09-25 23:39:42
기사수정

남북하나재단(이사장 정옥임, 이하 재단)과 통일보건의료학회(이사장 전우택 연세의대)가 2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2층에서 ‘한반도 통일보건의료 연구의 흐름과 미래’를 주제로 공동학술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회의는 재단 설립 4주년과 통일보건의료학회 창립에 즈음하여 통일 준비와 통일이후의 과제로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라 할 수 있는 남북한 보건의료시스템 전반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열악한 의료 환경과 만성적인 영양부족에 시달리던 북한에서의 생활과 고된 탈북과정을 거치면서 건강상의 문제를 호소하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될 예정이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과 통일 대비 남북한 보건의료 통합방안 연구 등을 위한 재단과 통일보건의료학회의 ‘착한(着韓) 보건의료지원 및 연구개발’ 업무협약도 체결될 예정이다.

이번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양 기관은 △북한이탈주민 보건의료 분야의 조사연구 및 전문인력 교육훈련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공동사업 △통일대비 남북한 보건의료분야 통합방안 연구 등의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재단 정옥임 이사장과 전우택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 유기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김춘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추무진 대한의사협회 회장, 문옥륜 서울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 등이 참석할 예정으로 전우택 이사장이 ‘한반도 통일과 보건의료의 역할’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선다.

기조연설에서 전우택 이사장은 통일 이후 북한주민의 의료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 의료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건의료 지원을 통한 살아있는 정보와 경험의 축적이 갖는 함의에 대해 화두를 던질 예정이다.
 
5-26.jpg

1부 ‘통일보건의료 연구의 흐름’ 주제발표와 2부 ‘통일보건의료 연구의 미래’ 패널토론으로 나누어 진행될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출신 의사들과 간호사도 다른 연구자들과 함께 패널로 참여한다.

특히 1부에서는 고려의대 김신곤 교수가 발제자로 나와 통일보건의료 연구의 흐름을 이야기하면서 ‘통일 이후를 대비한 프로토타입(prototype) 연구’로써 북한이탈주민이 갖는 병리학적 특성과 남북한주민을 역학 조사한 비교연구 결과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 내용으로 ‘남한에 와서 체중이 5% 이상 증가한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무려 9배나 높아졌음’을 발표한다.

대사증후군이 당뇨병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임을 고려할 때, 현재 탈북민의 대사증후군 유병 규모는 머지않은 시기에 이로 인한 당뇨병의 급격한 증가를 예견하게 하는 것으로 이를 막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예방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당뇨병은 빈곤을 경험한 세대가 갑작스런 풍요에 처하게 될 때 그 위험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생활습관병으로 1990년대, 성장기에 극심한 기아를 경험한 30~40대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체중증가에 따른 발병 위험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재단 정옥임 이사장은 “보건의료분야는 남북한 주민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리는데 있어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분야로 통일을 대비하기 위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먼저 온 통일이라 할 수 있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건의료분야의 선험 사례들이 향후 남북한 보건의료분야의 통합방안을 마련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재단은 이번 협약에 앞서 여러 기관들과 통일을 준비하는 착한(着韓)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1165581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