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10년 이상된 인큐베이터 방치 신생아 목숨도 위협 - 의원급 산부인과에 비치된 인큐베이터, 제조시기 확인 가능한 10대 중 6대는…
  • 기사등록 2014-09-21 22:49:42
  • 수정 2014-09-21 22:50:30
기사수정

전국 인큐베이터 3,000여대 중 21.6%는 언제 제조됐는지도 모르고, 10년 이상된 인큐베이터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최근 안동의 한 산부인과 병원에서 인큐베이터 안에 있던 두 명의 신생아가 화상을 입어 생명이 위독한 수준까지 가는 심각한 사건이 벌어졌다.

일반적으로 인큐베이터는 온도조절기능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는데, 왜 인큐베이터 안에 전기장판을 깔아서 이런 상황까지 왔는지에 대해 전문가들조차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출산을 앞둔 부모들 입장에서는 엄청난 두려움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전국 산부인과에 비치된 인큐베이터들, 제대로 관리되고 있을까?

◆인큐베이터 5대 중 1대는 언제 만들어졌는지도 몰라
인큐베이터에 대한 제조연한 현황을 살펴본 결과, 전국의 인큐베이터 3,069대 중 언제 만들어졌는지 모르는 인큐베이터가 664대로 21.6%나 되었고, 제조연한이 확인 가능한 인큐베이터 중에서도 10년 이상된 오래된 인큐베이터도 40.5%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0-7.jpg

◆ 의원급 산부인과 인큐베이터, 10대 중 6대는 10년 넘은 노후장비
특히 이러한 현상은 의료기관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의원급 산부인과의 인큐베이터 중 제조연한이 확인가능한 227대 중 63%에 해당하는 143대가 10년 이상된 장비로 나타났고, 병원급 의료기관의 331대 중 59.5%인 197대,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의 980대 중 433대(44.2%), 상급종합병원의 867대 중 200대(23.1%)가 10년 이상된 장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작은 병원일수록 오래된 인큐베이터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 이에 따른 위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보건복지부를 통해 이번에 인큐베이터 내 신생아에게 화상을 입은 안동 A병원의 인큐베이터 제조연한을 확인한 결과, 2개의 인큐베이터 모두 10년 이상된 노후장비였다.
0-8.jpg

◆ 중증도 위해성 높은 오래된 인큐베이터!
언제 만들어졌는지도 모르고 10년 이상된 인큐베이터는 위험하지 않을까?

의료장비는 대부분 의료행위 과정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의료사고 발생과 매우 밀접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의료장비의 잠재적 위해성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분류하고 있는데, 이번에 문제가 된 인큐베이터는 ‘3등급’에 해당되어 ‘중증도의 잠재적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라 할 수 있다.
0-9.jpg

따라서 인큐베이터는 심각한 위해성을 가진 의료장비이기 때문에 품질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더구나 언제 만들어졌는지도 모르고 제조연한도 오래됐다면 품질관리는 더욱 중요하다.

◆192종 의료장비 중 품질관리되는 것은 3종 뿐. 인큐베이터는 제외!
그렇다면 과연 이러한 인큐베이터에 대한 품질관리는 제대로 되고 있을까?

보건복지부가 2011년 「의료장비현황 신고대상 및 식별부호화에 관한 기준」고시로 제정한 192종 의료장비에 대한 품질관리 여부 확인결과, 현재 192종 중 품질관리를 하고 있는 의료장비는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 유방촬영용장치(Mammography) 3종 뿐이었다.

인큐베이터를 비롯한 나머지 189종의 의료장비는 국가적 차원의 품질관리가 전혀 안된 채 의료기관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품질관리 대상 의료장비 확대, 품질에 따라 차등수가 적용해야
이에 대해 최동익 의원은 “이번에 안동에서 발생된 신생아 화상 문제는 결국 인큐베이터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정상적인 인큐베이터였다면 온도조절이 되기 때문에 온열매트가 필요 없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언급하고 있다. 인큐베이터의 온도조절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온열매트를 사용했을 것이고 결국 있어서는 안 될 사고가 발생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인큐베이터와 같은 의료기기에 대해 국가가 나 몰라라 하는 사이에 아무런 잘못 없는 신생아가 화상을 입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일이 이번뿐이겠는가? 의료기기에 대한 품질관리를 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일은 우리에게 언제든지 닥칠 수 있는 사고이다”며 “따라서 보건복지부는 ①현재 3종 뿐인 품질관리 대상 의료장비의 범위에 인큐베이터 등 다양한 의료장비를 추가로 포함하고 더불어 ②의료장비 품질에 따라 수가를 차등적용하여 국민들이 안심하고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1130726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