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소비생활 관련 위해사례 해마다 증가 - 식품, 가정 내, 10세 미만 안전사고
  • 기사등록 2014-08-03 17:08:29
  • 수정 2014-08-03 17:10:18
기사수정

제품, 시설, 서비스를 이용하다 발생하는 위해사례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10세 미만 어린이들이 안전사고를 많이 당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하, CISS*)에 접수된 위해사례가 매년 증가해 2011년 54,724건, 2012년 61,498건, 2013년에는 65,405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의거 위해정보의 수집 및 처리를 위해 구축되었으며 병원, 소방서, 소비자상담, 소비자신고, 언론 및 해외정보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축적된 정보를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표)최근 3년간 연도별 위해정보
3-2.jpg


지난해 1년간 CISS에 접수된 위해사례 65,405건을 분석한 결과, 품목으로는 ‘식료품 및 기호품’(12,016건, 18.4%), 위해발생 장소로는 ‘가정’(37,231건, 56.9%), 연령별로는 ‘10세 미만’(21,971건, 33.6%)에서 가장 많은 위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해다발 품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식료품 및 기호품’(12,016건, 18.4%)에서 이물, 부패, 변질, 식중독 등이 발생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계단이나 유리와 같은 ‘구조물, 건축물, 및 제조용 자재’(10,655건, 16.3%), ‘차량 및 승용물’(7,680건, 11.7%), ‘가구 및 가구 설비’(7,531건, 11.5%) 등에서 위해 발생 빈도가 높았다.   특히 ‘식료품 및 기호품’은 전년 대비 19.6%(1,966건), ‘차량 및 승용물’은 전년 대비 20.3%(1,294건)나 증가했다.

위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가정’(37,231건, 56.9%)으로 침실/방(11.8%), 거실(9.6%), 주방(9.1%), 화장실 및 욕실(4.2%) 등에서 주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0세 미만’의 위해사례가   21,971건(33.6%)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7,909건, 12.1%), ‘40대’(6,691건, 10.2%), ‘50대’(5,774건, 8.8%), ‘20대’(5,299건, 8.1%) 순으로 나타났다.

(표)최근 3년간 연령별 위해정보 건수
3-3.jpg

화재사례는 총 2,836건이 접수됐는데 자동차(1,034건, 36.5%)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았고, 전기장판(192건, 6.8%), 선풍기(106건, 3.7%), 세탁기(101건, 3.6%) 순이었다.  

자동차나 가전제품의 장기 사용으로 화재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보다 철저한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화재사고 다발 품목 현황
3-4.jpg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CISS에 수집된 위해사례에 대한 신속한 조사를 통해 265건의 사업자 시정을 권고했고, 33건의 리콜을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 ▲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이물질, 변질 등의 식품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하고 ▲ 가정 내에서 어린이들이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며 ▲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핫라인(☎ 080-900-3500)이나 한국소비자원 CISS홈페이지(www.ciss.or.kr)를 통해 해당 위해정보를 신고하도록 당부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0705323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6~7월 제약사 이모저모]베이진, 신신제약, 한국머크, 티디에스팜,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목암생명연, 바이엘, 엔지켐생명과학, 한국로슈, 한국머크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