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애브비, 인터페론없는 경구제 사용 최대 규모 제3상 임상시험완료 - 특정환자유형서 리바비린 추가 여부 관계없이 99% 12주 지속 바이러스 반응
  • 기사등록 2014-02-10 13:27:55
  • 수정 2014-02-10 13:40:37
기사수정

애브비가 유전자 1형(GT1) 만성 C형 간염바이러스(HCV) 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인터페론을 포함하지 않는 경구제에 리바비린을 추가하거나 추가하지 않는 요법을 평가한 제3상 임상시험을 완료하고 4건의 추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아래 결과는 기존에 보고된 애브비의 자료를 확인하고 GT1 환자군에서 높은 12주 지속 바이러스 반응(SVR12) 및 내약성을 나타냈다.

애브비 제3상 임상시험 결과
0-4.jpg

스콧 브런(Scott Brun) 애브비 제약개발 부사장은 “25개국에서 2,300명의 환자들이 참여한 애브비의 대규모 제3상 임상시험 결과는 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GT1 환자군를 대상으로 애브비 요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준다. 애브비 요법은 반응률과 내약성은 높고 치료 중단율은 낮아 유망하다”고 말했다.

애브비 요법은 ABT-267(25mg)과 ABT-450/리토나비어(150/100mg)의 복합제(1일 1회 투여)와 ABT-333(1일 2회, 250mg)에 리바비린(1일 2회 체중에 따라 투여)을 추가하거나 추가하지 않는 것이다.

서로 다른 세가지 기전의 약물이 복합되어 HCV 복제 과정을 억제하고 다양한 환자군 전반에 걸쳐 SVR 비율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리바비린을 추가 또는 단독으로 HCV GT1을 치료하기 위해 연구 중인 애브비 요법은 2013년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혁신치료제(Breakthrough Therapy)로 선정됐다.

애브비는 2014년 2분기에 주요 허가 신청을 제출할 계획이다. 애브비는 향후 학회 및 저널을 통해 상세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M13-389 (PEARL-II) 연구에 대하여
PEARL-II는 치료 경험이 있는 GT1b HCV에 감염된 간경변이 없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애브비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하거나 추가하지 않고 12주 동안 치료 후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한 글로벌, 다기관, 무작위 배정, 공개, 대조군 임상시험이다.

치료 경험이 있는 GT1b 간경변이 없는 환자 179명이 연구에 참가했으며 이중 91명은 무작위로 리바비린을 투여하지 않는 치료군에 배정되어 12주간 치료를 받았고 88명은 무작위로 12주 동안 리바비린 추가 치료군에 배정되어 투여받았다.

리바비린을 투여하지 않은 환자들은 100%(n=91/91)가 SVR12에 도달했고 리바비린 추가 투여군은 97%(n=85/88)가 SVR12에 도달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이상 반응은 피로감과 두통이었다. 이상 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은 리바비린을 투여하지 않은 환자군에서는 없었고 리바비린 추가 투여군에서는 2명(2%)이 발생했다. 바이러스 재발 혹은 바이러스 돌파현상은 두 환자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M13-961 (PEARL-III) 연구에 대하여
PEARL-III는 치료 경험이 없는 GT1b HCV에 감염된 간경변이 없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애브비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하거나 추가하지 않고 12주 동안 치료 후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한 글로벌, 다기관, 무작위 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임상시험이다.

치료 경험이 없는 GT1b 간경변이 없는 환자 419명이 연구에 참가했으며 이중 209명은 무작위 로 애브비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하지 않는 치료군에 배정되어 12주간 치료를 받았고 210명은 무작위로 12주 동안 리바비린을 추가 치료군에 배정되어 치료받았다.

12주 치료 후 리바비린을 추가하지 않은 환자들은 99%(n=207/209)가 SVR12에 도달했고 리바비린 추가 투여군은 99%(n=209/210)가 SVR12에 도달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이상 반응은 두통과 피로감이었다. 이상 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은 없었다. 바이러스 재발 혹은 바이러스 돌파현상은 리바비린을 추가하지 않은 환자군에서는 없었고 리바비린 추가 투여군에서는 0.5%의 환자에서 발생했다.

◆M14-002 (PEARL-IV)연구에 대하여
PEARL- IV는 치료 경험이 없는 GT1a HCV에 감염된 간경변이 없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애브비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하거나 추가하지 않고 12주 동안 치료 후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한 글로벌, 다기관, 무작위 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임상시험이다.

치료 경험이 없는 GT1a 간경변이 없는 환자 305명이 연구에 참가했으며 이중 205명은 무작위 로 리바비린을 추가하지 않는 치료군에 배정되어 12주간 치료를 받았고 100명은 무작위로 12주 동안 리바비린을 추가 치료군에 배정되어 치료받았다.

12주 치료 후 리바비린을 추가하지 않은 환자들은 90%(n=185/205)가 SVR12에 도달했고 리바비린 추가 투여군은 97%(n=97/100)가 SVR12에 도달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이상 반응은 피로감, 두통, 메스꺼움이었다. 이상 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은 리바비린을 투여하지 않은 환자군에서는 2명(1%)이 발생했고 리바비린 추가 투여군에서는 없었다.

바이러스 재발 혹은 바이러스 돌파현상은 리바비린을 추가하지 않은 환자군에서는 8%, 리바비린 추가 투여군에서는 2%의 환자에서 발생했다.

◆M13-099 (TURQUOISE-II)연구에 대하여
TURQUOISE-II는 GT1 간경변증 동반환자만을 대상으로 인터페론을 포함하지 않는 경구 요법을 평가한 제3상 임상시험 중 첫 번째 연구이다.

치료경험이 있거나 없는 GT1a 및 GT1b HCV에 감염된 간경변성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애브비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 투여해 12주 또는 24주에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글로벌, 다기관, 무작위 배정, 공개연구다.

치료 경험이 있거나 없는 GT1a 및 GT1b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 380명이 연구에 참가했으며 이중 208명은 무작위로 애브비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한 치료군에 배정되어 12주간 치료를 받았고 172명은 무작위로 애브비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 투여해 24주간 치료받았다.

12주 치료 후 92%(n=191/208)가 SVR12에 도달했다. 24주 치료 후 96%(n=165/172)가 SVR12에 도달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이상 반응은 피로감, 두통, 메스꺼움이었다. 이상 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은 12주간 애브비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 투여한 환자군에서는 4명(2%), 24주간 애브비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 투여한 환자군에서는 4명(2%)이 발생했다.

바이러스 재발 혹은 바이러스 돌파현상은 12주간 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는 6%, 24주간 받은 환자군에서는 2%에서 나타났다.

애브비의 제3상 연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www.clinicaltrials.gov)에서 볼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만성 C형 간염 환자는 약 1억 6천만 명에 달한다. 애브비의 만성 C형 간염바이러스 다국가 임상 프로그램은 GT1-감염환자를 대상으로 인터페론을 포함하지 않고 경구제만을 사용해 시행하는 최대 규모의 임상연구로 GT1(아형은 1a와 1b)은 전세계에서 유병률이 가장 높은 유전자형이다.

애브비의 HCV 개발 프로그램
애브비의 HCV 임상 개발 프로그램의 취지는 인터페론을 포함하지 않는 경구 요법에 리바비린을 추가 또는 단독 치료 효과를 연구해 과학적 지식과 임상 치료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기존 인터페론 기반 요법에 반응이 없거나 진행성 간섬유화 또는 간경변 환자와 같은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을 포함하여 가능한 많은 환자들이 높은 SVR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ABT-450은 애브비와 에난타제약(Enanta Pharmaceuticals)이 HCV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와 이 억제제를 포함하는 요법을 공동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ABT-450은 애브비가 연구 중인 다른 HCV치료약물과 복합제로 사용하기 위해 현재는 애브비가 개발 중이다

◆리바비린과 리토나비어의 안전성에 관한 정보
리바비린과 리토나비어는 위에 기술한 연구용으로 승인되지 않았으며 당해 용도로 동 제품을 사용시 안전성 또는 유효성에 관하여 어떠한 결론도 내릴 수 없고 내려서도 안 된다.

승인된 환자들에 대하여 위 의약품들을 처방시 안전에 대하여 특별히 고려해야 한다.

리토나비어는 유의한 약물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특정 약품과 병용해 사용해서는 안되고 리토나비어 또는 함유되어 있는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해서는 안 된다.

리바비린은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 및 아내가 임신 중인 남성에게 투여해서는 안된다. 리바비린은 중증의 심장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나 중증의 간기능 부전 또는 비대상성 간경변증, 자가면역간염, 혈색소병증, 중증 신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투여해서는 안된다.

자세한 내용은 허가된 제품 라벨을 참조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9200634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비보존제약,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화이자제약,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14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가톨릭대, 서울대, 중앙대광명병원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