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신간]1% 호기심, 꿈을 쏘는 힘 - NASA의 핵심 연구원, 서울대학교의대서‘항공우주의학’새 분야 열다
  • 기사등록 2013-05-15 00:19:09
  • 수정 2013-05-15 00:26:48
기사수정

항공우주공학을 꿈꾸는 과학도는 물론 전 세계의 엘리트들이 선망하는 연구소,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서 차세대 우주왕복선의 책임연구원으로 일하던 김성완 박사. 그런 그가 어느 날 모교인 서울대의 부름을 받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부임했다.

미국이 붙잡는 항공우주공학자에서 서울대 의대 교수로 돌아와 과학과 의학의 융합을 이끄는 그의 특이한 이력에는 공통된 키워드가 있다. ‘호기심’ 그리고 바로 ‘1%’다.

‘1% 호기심, 꿈을 쏘는 힘’(저자 김성완)은 저자가 ‘호기심’을 통해 자기만의 꿈을 붙잡고, 포기하지 않고 그 과정을 이루어 가는 ‘1%’의 노하우를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전하는 이야기이다.

어릴 적 암스트롱의 달 착륙 장면을 생중계로 보고 꿈을 키운 ‘NASA 키즈’, 600만 불의 사나이를 보고 인간과 기계와의 결합을 상상했던 ‘로봇 키즈’ 저자는 자신의 꿈을 향해 서울대학교와 대학원을 마치고 뒤늦은 유학길에 나섰다.

이후 세계 10위 방위산업체 LAC 책임연구원을 거쳐 대표적 항공우주기업 보잉에서 차세대 우주왕복선 초기 개발의 책임연구원로 일했고 오랜 꿈대로 NASA에 들어가 차세대 우주왕복선 연구 및 유인 달·화성 탐사선 을 연구하는 우주시대를 열어 갈 손꼽히는 미래 항공우주전문가가 되었다.

그런 그가 NASA에서 활약을 접고 대한민국 의공학에 ‘날개’를 달고자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로 변신했다.

현재 그는 NASA에서 연구한 항공우주학을 토대로 인체 속을 탐험하는 내시경 카메라,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세수술을 하는 로봇 팔, 심장과 폐를 연결하는 인공장기, 한국인에게 맞는 인공 췌장 적응 연구, 암의 조기 진단 등 의학과 항공우주공학을 융합한 의공학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더 멋진 미래, 더 건강한 인류를 위해 전진 중이다.

저자는 자신의 삶을 지배한 ‘호기심’ 과 ‘1%’, 2가지 가치를 솔직하게 행동으로 옮겼고, 그 결과 세계에서 손꼽히는 미래 항공우주전문가가 됐다.

그런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로 돌아와 과학과 의학의 융합을 이끄는 것. 오늘날 꿈을 잃어가는 청춘에게 찾아보기 힘든 이 도전과 열정은 우리가 저자로부터 배워야 할 최고의 가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854426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