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방사선치료기술의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원자력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미숙 박사(사진)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간암 첨단방사선치료기술 연구사업 기획회의에 자문위원으로 참가하는 것.
IAEA는 최근 첨단 방사선치료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정위신체방사선치료기술(SBRT;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을 활용한 간암 치료에 대하여 IAEA 공동연구사업(CRP; Coordinated Research Project)을 추진하기로 결정하고 국제적인 전문가들을 자문위원으로 초청하여 오는 14일부터 17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 IAEA 본부에서 회의를 개최한다.
정위신체방사선치료 SBRT란 3차원 좌표계를 이용해 표적(암세포)을 정확히 정렬한 뒤 치료에 필요한 양의 방사선을 여러 방향에서 표적에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방사선 치료법이다.
이런 집중적 조사 방식으로 인하여 기존 방사선치료에 비해 치료기간 및 입원기간이 대폭 단축되며 치료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수술이 어려운 환자의 경우 가장 효과적인 대체 치료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회의에는 미국, 덴마크, 네덜란드, 캐나다, 호주, 한국 등 6개국을 대표하는 전문가 6인이 참가하여 각국에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간암 SBRT 치료 프로토콜에 대해 발표하고, 이에 대한 IAEA 공동연구사업을 설계할 예정이다.
원자력병원은 2002년 국내에서 최초로 방사선 암치료기 사이버나이프를 도입하여 SBRT 암 치료를 시작, 2010년 국내 최초로 2,500례를 돌파하는 등 우수한 치료성적을 거둔바 있다.
특히 2009년부터는 ‘세기조절-영상유도’ 방사선치료기인 래피드아크를 도입하여 SBRT 암 치료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원자력병원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 2012년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 최초로 한국이 IAEA 아시아태평양지역 기술보급사업의 사업주도국(Lead Country)이 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으며, IAEA를 통하여 아태지역 16개 국가를 대상으로 2015년까지 SBRT 치료기술을 보급하고 있다.
IAEA SBRT 기술보급사업 책임자인 조철구 원자력병원장은 “그 동안 국내 방사선의학이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에서의 인지도가 기술수준 만큼 높지 않다는 문제제기가 있어온 게 사실이다”며, “이번 김미숙 과장이 간암 치료기술 기획회의에 자문위원으로 초청된 것은 그 동안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기술력을 인정받기 위해 기울여 온 노력이 거둔 또 하나의 성과다”고 밝혔다.